주말에 관세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우리나라는 어떤 피해가 생기나요.
미국과 우리나라는 관세협상이타결되지 않은 상태인데요. 미국과 관세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우리나라경제에 어떤 영향을 받나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결렬될 경우, 일단 당장 체감되는 부분은 수출입 비용 상승입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 제품을 팔 때 지금보다 높은 관세를 물게 되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반대로 미국산 제품을 들여올 때도 비용이 늘어나게 되어 소비자 가격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런 흐름이 계속되면 기업들은 수출물량을 줄이거나, 아예 미국 이외의 시장으로 눈을 돌릴 수도 있습니다.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산업일수록 타격이 더 클 수 있고, 고용이나 생산 투자 계획에도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무역 불확실성이 커지고, 환율이나 주가 같은 거시경제 지표에도 부정적인 흐름을 줄 수 있습니다.
결국 협상이 지연될수록 수출 환경은 불리해지고, 국내 산업 전반에 압박이 누적되는 구조로 흘러갑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과 관세협상이 진전되지 않으면 한국 수출기업들은 높은 관세 부담으로 가격 경쟁력이 약해질 수 있고, 특히 자동차나 철강처럼 미국 수출 비중이 큰 업종은 타격이 클 수 있습니다. 일부 기업은 우회수출이나 생산기지 이전을 고민하게 될 수도 있어 공급망 재편 흐름도 예상됩니다. 소비재 수입에도 영향이 있어 물가에도 일부 파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과의 관세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한국 수출품에 대해 보편관세 10%보다 더 높은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수출감소나 가격경쟁력 하락이 불가피하게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품목별 관세 등의 대상인 자동차, 철강, 반도체 등에 대한 관세도 시행이 시작되거나 계속 관세부과정책이 계속되어 이에 따른 타격도 불가피해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영국과 베트남이 미국과 협상이 완료되고 인도도 임박했다는 소식이 들려오지만 한국과 일본은 기한내로 합의가 쉽지 않아보입니다.
트럼프는 협상을 기한내에 하기 위해 연장없이 서한을 통보하고 상호관세를 예정대로 부과한다고 엄포를 놓고 있는 상황입니다.
해당 내용대로 된다면 당장 10%에서 25%로 복귀되므로 우리나라 수출기업에는 상당한 악영향으로 무역수지와 수출이 급감할것으로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