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리하파파
리하파파22.05.06

야채를 안먹는아이 어떻게 하면 먹일수있을까요?

3세 아이를 키우는 부모입니다 우리아이가 밥을 먹을때 밥만 잘먹고 다른반찬같은건 잘안먹는데요 야채를 좀 잘먹었으면 하는데 먹질 않네요 야채를 잘먹을 수있게 좋은 방법은 없을까요?골고루잘먹었음 좋겠는데 걱정이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야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면

    야채를 다져서 고기와 함께 먹을 수 있도록 하시는 것이

    좋은 방법일 것 같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05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리 방법을 바꿔보세요. 채소의 물컹물컹한 느낌이나 질긴 식감을 싫어한다면 원재료의 모양과 맛, 풍미 등이 잘 느껴지지 않게 조리 방법을 바꿔보세요. 같은 식재료라도 튀기거나 찌면 음식의 맛과 식감이 달라진다. 아이가 싫어하는 채소는 귀신같이 골라낸다면 채소를 잘게 다져 만두를 만들고, 고구마와 단호박, 토마토 등으로 셰이크를 만들어 먹이자. 채소 모양에 대한 거부감 없이 재료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을겁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1. 즐거운 식사시간을 만들어주세요

    먼저 아이에게 식사 시간을 즐겁게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 주세요. TV를 끄고, 장난감을 멀리한 후 가족 모두 식사에 집중하며 어떤 맛이 나는지, 어떻게 요리했는지 등 식사에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어 봅니다. 요즘 식사시간에 보면 부모는 부모대로 휴대폰을 보면서 식사를 하고 아이는 아이대로 TV나 패드를 통해 시청을 하면서 밥을 먹기도 하는데요 같은 시간 같은 식탁에서 식사를 하면서도 서로 다른 공간에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착각이 들 정도로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이제는 최소 식사시간에서만큼은 식사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디지털 기기와 멀리하고 식사에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며 만약 아이가 음식을 남겼을 때 끝까지 다 먹게 한다면 벌을 받는다는 느낌을 줄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해요

    2. 양을 조절하기

    가정에서도 아이에게 식판으로 식사를 지도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반찬 담은 칸에는 아이의 기호에 따라 양을 조절하여 주시고 갑자기 싫어하는 반찬을 많이 주면 거부감을 가질 수 있으니 조금씩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급적이면 좋아하지 않는 반찬을 먼저 먹을 수 있도록 해주세요 저희는 먹기 싫어하는 반찬을 가급적이면 강제성은 없지만 최대한 조금이라도 먹어볼 수 있게 설명도 해주고 먹여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무턱대고 이거 먹고 저거 먹어가 아닌 이 음식을 먹으면 어디 어디 가 좋아지고 우리 00이에게 많은 도음을 줄 거야 하면서 차근차근 설명을 해주고 있어요

    3. 스스로 편식해결하기

    가정에서도 아이에게 식판으로 식사를 지도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반찬 담은 칸에는 아이의 기호에 따라 양을 조절하여 주시고 갑자기 싫어하는 반찬을 많이 주면 거부감을 가질 수 있으니 조금씩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급적이면 좋아하지 않는 반찬을 먼저 먹을 수 있도록 해주세요 저희는 먹기 싫어하는 반찬을 가급적이면 강제성은 없지만 최대한 조금이라도 먹어볼 수 있게 설명도 해주고 먹여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무턱대고 이거 먹고 저거 먹어가 아닌 이 음식을 먹으면 어디 어디 가 좋아지고 우리 00이에게 많은 도음을 줄 거야 하면서 차근차근 설명을 해주고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 시기 아이들은 골고루 먹어야 성장에 도움이 되니, 최대한 영양가를 고루 갖춘 음식을 섭취해야 합니다.

    야채를 싫어하면, 야채를 잘게 다진 주먹밥이나, 볶음밥으로 요리 형태를 자주 바꿔 가며 줘도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당근을 싫어하는 아이라면 딱딱해서 싫거나 냄새 모양 등이 싫을 수도 있습니다

    당근이나 가지 호박 등을 아이들이 좋아하는 케릭터로 분장해서 나오는 동화책을 읽어주면 아이도 음식 재료 친구들과 친해져서 먹기에 거부감이 없을 수도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야채의 향이나 식감등이 아이에게 거부감이 들어서 편식을 하는 이유가 될수있습니다

    이런 경우 가능하면 향이나 맛에 대해서 익숙하게 만들어주는것이 좋습니다

    좋은 것중 하나는 같이 조리하는것입니다.

    아이가 싫어하는 식품과 좋아하는 식품을 같이 만들어서 조리를 해주면 좋습니다

    떡갈비를 만들때 싫어하는 야채를 조금씩 넣어서 같이 만든다던지 계란찜을 할때 같이 조금씩 섞어주는등

    꾸준히 조금씩 섭취하다보면 점차적으로 야채에 적응할수있을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