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가 게임에 너무 빠져있을때 대처법은 무엇인가요?
아이가 게임을 너무 좋아합니다.
시간만 나면 핸드폰을 들고 게임만 하는데요.
이럴때 무작정 못하게만 하면 오히려 반발이 생길것 같은데요.
자연스럽게 핸드폰의 게임을 조절할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는
어떤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게임에 쉽게 빠지는 이유는
다양한 놀이에 대한 관심.흥미.재미가 부족함이 커서 입니다.
그리고 부모님과 함께 하는 놀이 시간이 부족해도 게임에 쉽게 빠지는 원인 중 하나 이기도 합니다.
제일 먼저 아이에게 다양한 놀이가 있음을 알려주고 다양한 놀이의 탐색과 경험을 해 볼 수 있도록 다양한 놀이를
제시 하면서 아이와 함께 놀이를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 부터가 시작 입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게임을 장시간 하는 태도는 옳지 않음을 알려주고, 왜 게임을 장시간 하는 태도가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세요,
또한, 아이와 함께 게임 적정시간을 정하여 보고., 게임 적정시간을 어기면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대처방안을 마련하여
아이 스스로 한 약속을 잘 지킬 수 있도록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휴대폰이나 게임, 텔레비젼은 애초에 규칙을 정해 놓고 지키면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숙제나 본인의 할 일을 다 한 후에 하루에 1시간만 허락해 주세요.
핸드폰 같은 경우는 부모님이 직접 어플 설치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중독이 심한 게임은 설치를 자제해 주시고, 스도쿠 같은 퍼즐 게임을 설치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자녀가 게임에 빠졌을 때는 강제적인 통제보다 자율조절 능력을 키워주는 접근이 효과적입니다. 먼저, 아이와 함께 하루 게임 시간 규칙을 상의해 정하고, 그 외 시간에는 다른 흥미로운활동(운동, 보드게임, 요리 등)을 함께 시도해보세요. 또한 게임 사용 이유(스트레스 해소, 재미 등)를 이해하고 감정적으로 소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가 게임에 너무 빠져 있을 때 대처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자기조절능력이 부족한 아이들은 양육자가 적절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자 미디어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뇌발달, 눈건강, 일상생활, 학습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로 하여금 텔레비전 외에 다른 쪽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부분은 부모님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집 안에 있을 때는 보드게임이나 말놀이와 같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내고,가족이 함께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주말이나 휴일에는 가족과 함께 여행, 공연관람, 각종체험활동,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여가를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아이와 텔레비전 시청 시간이나 조건을 한번 짚고 넘어갈 필요는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자녀가 게임에 많이 몰입하고 있으면 걱정이 되죠. 관련하여, 사용 시간과 빈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무작정 사용 시간과 빈도만 줄이면(하지 말라고 하면) 반발심이 커질 수 있어요. 그렇기에, 아이가 게임 이외에 건전하고 즐겁게 할 수 있는 무언가를 만들어 주세요. 운동이나 책 읽기, 아니면 같이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 형태가 다양할수록 좋습니다. 이렇게, 게임 이외의 할 것을 마련하면서 동시에 게임 시간을 줄여가도록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