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희망은좋은것이죠
희망은좋은것이죠22.12.30

생산자 물가지수란 어떻게 책정되고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요즘에 지표들을 많이 보고있는데 생산자 물가지수라는 지표가 있더라구요. 그리고 그 물가지수를 발표하는데 이 생산자물가지수는 어떻게 책정되고 무엇인가요? 정확한용어의 정의를 알고싶습니다.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 생산자가 국내(내수)시장에 공급하는 상품의 가격 및 서비스의 요금을 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도를 고려하여 평균한 종합적인 가격수준을 지수화한 통계를 말합니다.

    기사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지난 2009년 까지 기준년도와 해당년도의 물가를 단순 비교하는 고정가중방식인 라스파이레스 방식을 이용해 생산자물가지수를 작성했다. 그러나 이는 조사대상 품목과 가중치가 기준년도에 고정돼 기준년도에서 멀어질수록 현실 반영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2010년부터 기준시점과 비교시점 사이에 중간시점들을 삽입해 이를 또 다른 기준으로 반영하는 연쇄가중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10/05/2013100502493.html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생산자 물가 지수(PPI)는 국내 생산자가 생산물에 대해 받는 판매 가격의 평균 변화를 측정한 것입니다.

    생산자 물가 지수(PPI)는 해당 국가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상품 및 서비스 샘플을 선택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가격 변화를 추적하여 계산됩니다. 이러한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은 생산자 샘플에서 수집되며 경제에서의 중요성에 따라 가중치가 적용됩니다. 그런 다음 생산자 물가 지수(PPI)는 기본 기간에서 샘플의 상품 및 서비스 평균 가격의 백분율 변화로 계산됩니다.

    생산자 물가 지수(PPI)는 도매 또는 생산자 수준에서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종종 소비자 물가 상승률의 선행 지표로 사용됩니다. PPI는 또한 가격 변화의 영향을 제거하고 경제 활동의 변화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국내 총생산(GDP)과 같은 다른 경제 시리즈를 축소하는 데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