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알티스
알티스

증권시장에서 기업의 자사주 전량소각의 효과는 과연 있는것인가요?

LG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주주환원 정책 내용을 담은 기업가치 제고계획을 오늘 공시했는데요.

주 내용은 주요 주주 환원 정책은 자사주 전량 소각, 배당정책 개선, 중간 배당 실시등인데요.

배당은 이해하는데, 자사주 전량소각.. 5000억 정도 된다고 하는데요.

기업입장에서는 기업의 5000억을 그냥 없애는것인데. 구지 그럴봐엔 현금 5000억을 배당으로 주는게 더 합리적인게 아닐까요? 아니면 자사주를 주주배정으로 배당과 함께 주던지 하면 더좋을텐데..

5000억 벌지 못하는 회사가 수두륵한데.. 그냥 없애다니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의 자사주 소각은 시장에서 주식의 희소성을 불러일으킨다는 점과, 기업이 자사의 주식을 매수하여 없앤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에게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더 크게 도움이 됩니다. 5000억을 배당으로 주는 것은 단기적으로는 큰 도움이 될 지 모르나, 이 사람들이 주식을 매도하고 떠나면 의미없는 행동이될 수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자사주 소각에 대한 내용입니다.

    자사주를 소각하게 되면 나머지 주식들의 주가가 오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렇기에 주주환원의 효과가 있는 것입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자사주 소각이 드문 일이지만 선진 증권시장이라고 불리는 미국에서는 자사주 매입과 소각이 많이 일어납니다. 아무래도 자사주 소각도 주주 환원 정책의 하나이기 때문에 많이 하면 주주들에게 좋은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자사주를 전량소각하게 되면 해당 자사주가 다시 시장에 나올 걱정이 없기 때문에

      지금보다 밸류가 더욱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그렇기에 가격은 상승하고 주주들은 환호할 것입니다

    • 기업의 가치는 그대로 인데 주식의 수가 줄어드니 주당 가격은 자연스럽게 상승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소각이과 배당은 같은 효과이며 미국은 이둘이 매년 일정하게 일어나면서 높은 밸류와 장기성장세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거기다 자사주매입소각은 배당과 달리 소득세금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우선 자사주 매입소각은 유통주식수를 감소시킵니다 이말은 유통된 주식 소각비율만큼 이론적으로 주가가 상승하는 효과를 갖습니다

    두번째는 배당과 자사주매입 소각은 자본을 감소시킵니다 이는 EPS가 상승하고 ROE가 오르며 PER와 PBR이 낮아지는 밸류에이션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기 때문에 주가 부양의 핵심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주들에게 배당을 지급하는 것은 일시적인 주주가치제고 방법입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땐 유통주식수를 줄여서 매년 받게 되는 배당금이 증가하게 되고 EPS 주당순이익 지표를 개선하게 되어 신규투자자들에게 더욱 매력적인 주식으로 보일 수 있어 주식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배당금은 일시적인 주주환원 정책,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은 장기적인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 소각은 대표적은 주주환원 정책입니다.

    자사주 소각을 할 경우 주가가 크게 상승한 사례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해당 금액을 배당으로 지급하게 되면 당장 주주들에게 더 좋을 수 있으나,

    이는 기업 입장에서 돈을 그냥 사용한 것이 됩니다.

    자사주 소각은 기업의 가치를 그대로 두고, 발행주식수를 줄였기 때문에 결국 가치를 올리는 행위이나,

    돈을 그냥 배당으로 지급하게 되면 이는 주가의 상승 효과를 볼 수 없을 것입니다.

    즉, 결과적으로 기업에게도, 주주에게도 장기적으로 좋은 효과는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 전량 소각은 주식 수를 줄여 주당 가치와 주가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주주 이익에 긍정적입니다. 하지만, 현금을 배당으로 지급하거나 자사주를 주주 배정으로 제공하는 방식은 보다 즉각적인 환원 효과를 줄 수 있어 기업의 재무 상태와 주주 선호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자사주를 소각한다고 하더라도

    배당처럼 오히려 세금이 발생하지도 않을 수 있으며

    더불어서 주식수가 줄어들어 배당을 하는 효과와 비슷한 등

    그렇기때문에 대표적인 주주환원책이기에 배당으로 주는 것보다

    못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를 소각하면 발행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같은 순이익을 놓고 볼 때 주당순이익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주당순이익이 증가하면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자사주 소각은 회사가 자기 자본을 줄여 주주들에게 회사의 가치가 더 집중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즉, 기존 주주들의 지분 가치가 상승하는 것입니다.

    현금 배당은 일시적인 주주 이익 증가에 초점을 맞추지만, 자사주 소각은 장기적으로 주주가치를 제고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 판단하듯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자사주를 전량 소각하는 것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전략 중 하나입니다. 자사주 소각은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 수를 줄여 주당 순이익(eps)을 높이고, 주가 상승을 유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주들에게 간접적으로 이익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반면, 현금 배당은 주주들에게 직접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배당은 일회성 지급으로 끝나는 반면, 자사주 소각은 장기적으로 주식 가치 상승을 통해 지속적인 이익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사주를 주주들에게 배정하는 방식은 주식 수를 유지하거나 증가시켜 주당 가치 희석을 초래할 수 있어, 기업 입장에서는 신중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기업은 자사주 소각과 현금 배당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한 최적의 전략을 선택합니다. 자사주 소각은 주식 가치 상승을 통한 장기적 이익을, 현금 배당은 즉각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하므로, 기업의 재무 상황과 주주들의 기대에 따라 적절한 방안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많은 투자자분들이 자사주 소각의 실효성에 대해 비슷한 의문을 가지곤 하십니다. 특히 5000억이라는 큰 금액이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니 이해가 필요하죠.

    자사주 소각은 주식 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남아 있는 주식의 가치는 자연스럽게 상승하죠. 이는 단순히 배당으로 돈을 나누어주는 것과 달리, 장기적으로 주주가치와 기업가치를 동시에 높이는 전략으로 쓰입니다. 또, 배당보다 세금 측면에서 효율적이기도 합니다.

    LG의 사례처럼, 소각과 함께 배당 정책 개선을 병행한다면 단기와 장기 이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좋은 전략일 수 있습니다. 주가 상승을 원한다면 소각이 효과적일 겁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의 자사주 전량소각은 그만큼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굳이 배당으로 주주들에게 환원하지 않고 새로운 투자자들을 모으기 위함과 동시에 주가를 끌어올릴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법인세와도 관련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