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05.30

고려 말 장수 최영 장군은 어떤 성과를 거두셨었나요?

고려의 장수 하면 강감찬 장군과 최영 장군이 떠오르는데요.

그 중 최영 장군님은 승률도 엄청났다고 하던데, 최영 장군님이 거둔 성과나 업적은 어떤게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30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말의 장수로서 수차례의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막고 원나라 원병과 내란 평정 등 혁혁한 공을 세워 고려를 수호한 인물. 그의 억울한 죽음 이후 무속신으로 좌정되었다.

    고려 충숙왕 3년(1316)에 철원(개성 혹은 충남 서산이라는 설도 있음)에서 출생하여 73세의 일기로 개성에서 참수(斬首)된 최영(崔瑩, 1316~1388)은 무속에서 장군신으로 섬기는 실제 역사적 인물 중 하나이다.
    최영은 문하시중으로 있던 고려 우왕 14년(1388)에 명나라 땅 요동(遼東, 현재의 랴오둥 반도. 압록강 선양 일대를 말함) 정벌 때 팔도도통사(八道都統使)가 되어 좌군과 우군도통사에 각각 조민수(曹敏修, ?~1390), 이성계(李成桂, 1335~1408)를 두고 3월에 개성을 출발해 평양에 도착한다. 평양에서 최영은 왕의 만류로 출정하지 못하고 왕과 함께 개성으로 돌아오는 대신 조민수와 이성계로 하여금 요동으로 출정케 한다.

    이성계는 조민수를 꾀어 요동 진군을 포기하고 5월에 개경으로 역진격한다. 최영은 6월에 남은 군사로 대적했으나 역부족으로 패한다. 곧바로 체포되어 경기도 고양으로 귀양을 가서 같은 달 합포로 갔다가 7월에 충주, 다시 12월에 개경으로 옮겨져 참수된다.
    고려의 충신으로 큰 공로를 이룩했으나 직속 부하에게 배신을 당하고 참수까지 당하게 되는 억울한 생이 부각되어 한국의 무속에서는 그를 장군신으로 좌정시킨다. 최영 장군은 임경업(林慶業, 1594~1646) 장군 및 남이(南怡, 1441~1468)장군과 함께 한국의 주요 장군신으로 모셔지지만 이 가운데 최영 장군이 가장 널리, 가장 열렬히 숭앙되고 있다.

    무속적 세계관에서 억울하게 죽은 영혼은 저승세계에 안착하지 못하고 구중을 떠도는 것으로 나타난다. 무속은 이들 영혼을 달래고 천도하는 굿을 통해 해결한다. 그중 억울하게 죽은 왕이나 장군 및 유명한 공인 등은 무속의 신적 세계관에서 신격으로 추대되고 숭상의 대상이 된다.
    최영의 활동 범위는 전국에 걸쳐 있기 때문에 관련 사당과 유적지가 산재해 있다. 관련 유적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개성 덕물산의 최영장군사(崔瑩將軍祠), 강원도 철원군과 홍성군의 최영 장군 생가, 홍성문화제의 최영 장군 영신제, 경기도 고양시 대자산 기슭의 최영장군묘, 경남 통영시의 최영장군사당, 제주도 추자면의 최영장군사당, 부산 수영구의 무민사(武愍祠), 부산 동구의 무민공 최영장군사당, 경남 남해시 미조면의 최영장군사당 무민사, 충북 충주시의 기봉영당,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의 최영장군당 등이다.

    유적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나 최영 장군 신격의 숭상은 특히 중부 지역이 강세를 보인다. 최영이 탄생하고 입적한 곳이 중부 지역이어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신관 분포를 볼 때 중부 지역이 강세로 나타난다. 개성의 덕물산에 있는 최영장군사는 조선조 초에 이루어진 최영의 신원회복으로 창건되고 활성화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무민(武愍)’은 그때 받은 시호이다.

    최영의 신격 숭상 영향은 한양과 주변의 경기 지역에 두루 미쳐 최영장군신의 보편화를 가속화한 것으로 보인다. 그 영향은 개성 소재지인 황해도 지역의 무속에도 해당된다. 오늘날 최영장군굿을 주도하는 최영장군당굿보존회가 경기도 고양시에 있고, 그 주무(主巫)가 황해도 만신(萬神)인 점은 당연하다고 하겠으나 간과할 수 없는 점은 개성 덕물산의 도당굿과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다. 이중환(李重煥, 1690~1752)의 『택리지(擇里誌)』에 덕물산과 최영장군사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젊은 처녀가 사당을 시봉(侍奉)하였고, 밤이면 신령과 접신하여 혼인을 맺고 있다고 적고 있다. 아키바 다카시(秋葉隆)도 덕물산 도당굿의 웅장함을 잘 소개하고 있다.

    개성의 도당굿과 최영장군당굿의 제차를 밝히면 다음과 같다.
    개성의 도당굿 : [첫째날] 유가(당맞이와 유사), 부정풀이, 가망거리, [둘째날] 제석거리, 별상거리, 본향신거리, 도당할아비할망거리, 창부거리, 본향병졸거리, [셋째날] 군웅거리, 막동거리(활쏘기), 뒷전/영산 등 총 열두 거리.
    최영장군당굿 : 신청울림, 당맞이, 일월맞이, 상산맞이, 초부정거리, 감흥거리, 소대감거리, 성주거리, 칠성/제석거리, 별상거리, 영정거리, 말명거리, 군웅거리, 타살거리, 대감거리, 먼산장군거리, 토일성수거리, 신장거리, 최영장군거리, 대신거리, 창부거리, 조상거리, 목신서낭거리, 마당거리 등 총 스물네 거리.

    [네이버 지식백과] 최영 장군 [崔瑩 將軍] (한국민속신앙사전: 무속신앙 편, 2010. 11. 11.)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영(崔瑩)은 1316년(충숙왕 3)에 출생하여 1388년(공양왕 원년)까지 생존했던 고려 후기의 무신이다. 그는 공민왕(恭愍王) 과 우왕(禑王) 시대에 고려 정계에서 활동하며, 안으로는 거듭된 반란과 정치적 격변을 한가운데에서 겪었고, 밖으로는 홍건적의 난(紅巾賊-亂)과 왜구(倭寇)의 끊임없는 침입을 막아내는 대단한 행적을 남긴 인물이다. 그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우직함과 청렴함, 고집스러움과 잔혹함으로 대별되며, 비극적 죽음으로 인해 민간의 무속신앙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인물로 숭앙되고 있다.

    -출처:우리역사넷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