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 혈액형은 어떻게 항체가 태반의 통과할 수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ABO식 혈액형과는 달리 RH 혈액형의 경우에는 산모가 가지고 있던 항체가 태반을 통과해서 아이에게 전달될 수 있다고 하던데 그러한 차이가 어떤 이유로 생기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ABO식 혈액형의 경우에는 주로 IgM 형태의 항체이기 때문에, IgM은 분자가 큰 오각형의 펜타머 구조라서 태반을 통과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산모가 아이와 ABO 혈액형이 달라도 심각한 문제는 생기지 않습니다.
반면에 RH식 혈액형의 경우에는 주로 IgG 형태의 항체를 가지는데요, IgG는 작은 크기의 단량체라서 태반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H- 산모와 RH+ 태아 조합일 경우, 산모가 감작되어 IgG 항체를 만들면 이 항체가 태반을 넘어 태아 적혈구를 공격하면서 용혈성 질환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h 항체와 ABO 항체의 태반 통과 능력 차이는 항체의 분자 구조와 크기에서 비롯됩니다. Rh 음성인 산모가 Rh 양성인 태아의 혈액에 노출될 때 생성되는 Rh 항체는 주로 면역글로불린 G(IgG) 형태로, 분자량이 작고 태반에 IgG를 통과시키는 특정 수용체가 존재하여 태반을 쉽게 통과할 수 있습니다. 반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ABO 혈액형에 대한 항체는 대부분 면역글로불린 M(IgM) 형태로, IgG보다 5배 큰 오량체 구조를 가지고 있어 물리적으로 너무 크기 때문에 태반 장벽을 통과하지 못합니다.
Rh 혈액형의 항체는 IgG라는 종류의 항체이고, ABO식 혈액형의 항체는 주로 IgM이라는 종류의 항체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항체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이죠.
Rh 혈액형 항체인 IgG는 Y자 모양의 단일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분자 크기가 매우 작습니다. 이 덕분에 태반을 쉽게 통과하여 태아의 혈액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반면 ABO식 혈액형 항체인 IgM은 5개의 Y자 모양 구조가 합쳐진 오각형의 거대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분자 크기가 매우 커서 태반의 미세한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RH 항체는 주로 IgG형 항체로, igG는 태반을 통과할수있는 Fc수용체를통해서 태야에게 전달됩니다.
반면에 ABO항체는 대부분 IgM형으로 분자구조가 크기떄문에
태반통과가 어려워서 ABO와 달리 RH혈액형에서는 산모항체가 태아에게 영향을 줄 수 없다고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