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에서 배액할때 배액이 안나와요!
안녕하세요 PCN으로 배액을 하고 있는 환자가 있는 데 3way를 열어놓아도 배액이 안나오더라고 그래서 막힌 거를 뚫을려고하는 데 어떻게 뚫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복수 때문에 배액관을 삽입한 상태라면 PCD로 생각됩니다.
배액관을 개방했는데도 복수가 나오지 않는 경우 원인은 다양하여 스스로 처치 보다는 정확한 진단과 처치를 위해 진료를 받을 것을 권합니다.
먼저 시도 해볼 수 있는 방법으로는 배액 부위를 소독하고 멸균생리식염수를 10cc 주사기에 담아 배액관을 통해 주입과 흡인을 시도해보는 방법이 있으며 폐쇄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 방법으로도 재개통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만 깨끗하지 못한 상태에서 시행 시 균이 복강 안으로 들어가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고 무균 처치가 필요하겠으며 주입이 안되거나 들어가긴 하더라도 배액이 안되는 경우 카테터 위치의 변경이나 교체가 필요할 수 있어 더 이상 처치는 하지 말고 병원을 방문하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복수배액관이 기능이 떨어졌는지는 생리 식염수를 10cc정도 밀어넣어주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다만 복수는 세포 찌꺼기들 때문에 막히는 경우가 많아서 잘 안나오면 배액관 교체도 해봐야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배액이 잘 안 돼서 걱정이 많으실 것 같아요. 복수 배액을 위한 카테터가 막혔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우선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카테터가 꺾이거나 눌린 부분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 다음, 카테터 세척을 고려해볼 수 있는데 생리식염수를 사용해 세척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에요. 하지만 이 과정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고 감염의 위험이 있을 수 있어 병원에서 담당 의료진이 처리하는 게 안전합니다. 자가적으로 해결하기보다는 병원에서 도움을 받는 편이 더 바람직하며, 카테터의 위치나 상태에 따른 조치가 필요할 수 있으니 적절한 처치를 위한 준비가 되어 있는 병원에서 보다 정밀한 확인을 권장합니다. 배액이 원활하지 않으면 불편하실 테니 빠른 조치를 통해 증상이 해소되길 바라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PCN(경피적 신우배액)으로 배액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배액이 나오지 않는다면,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우선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배액관이 막히거나 꼬여서 배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첫 번째 조치는 배액관을 확인하고, 물리적인 차단이 있는지 점검하는 것이에요. 배액관에 응고된 혈액이나 기타 물질이 막힌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간단한 흐름 체크를 통해 배액관을 다시 정렬하거나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막힌 배액관을 뚫기 위한 방법으로는 배액관을 부드럽게 눌러서 내부를 풀어주는 방법이나, 압력 차이를 이용해 배액이 나오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삼각주사기나 세척용 수액을 사용하여 배액관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어요. 이때 세척 수액을 천천히 주입하면서 배액관의 막힌 부분을 풀어주면 배액이 다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다만, 지나치게 세게 주입하면 다른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구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액이 여전히 나오지 않으면, 배액관이 정상적으로 위치하지 않거나 내부에 더 심각한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영상 검사를 통해 배액관의 위치나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 배액관을 재조정하거나 교체하는 절차가 필요할 수 있어요
배액이 제대로 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감염이나 염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반드시 전문 의료진의 추가 처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