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

조기 외국어 교육이 언어발달에 안좋은가요??

친구가 중국인하고 결혼을 했는데요. 그래서 아이가 어려서 부터 한국어하고 중국어하고 같이 듣고 생활을 했는데요. 어느 순간 애가 말을 너무 늦게하더라고요. 혹시 이게 어린아이의 언어 발달에 장애를 줄수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의 국적이 다른 경우 오히려 이중 언어를 배울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다만 주양육자의 국적이 다른 경우에 모국어를 습득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우리나라 국적을 갖고 있는 부모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아이와 함께 하는 동안 대화를 많이 나누고, 책을 자주 읽어주는 것도 아이가 우리나라 말을 익히는데 도움이 됩니다.

      다른나라 국적을 갖고 있는 부모가 한국어를 능숙하게 사용한다면, 큰 무리는 없어 보입니다.

      만약 4~5세가 됐는데도 우리말에 어려움이 있다면,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이런 경우에는 기관의 도움을 받아보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중언어의 경우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이중언어를

      자연스럽게 가정에서 배울 때 큰 문제는 없지만 가끔 이중언어로 인해 혼란을

      느끼는 아이들이 있다고 합니다. 이때에는 이중언어 교육을 잠시 멈추어 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혼란스럽겠죠.

      부모가 같은 종족이 아니고 한 사람은 한국인, 다른 사람은 중국인 이라면 정체 혼란성을 불러 올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 현재 사는 곳이 대한민국 이라면 우리 모국어를 먼저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것이 가정 먼저 일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 모국어를 완벽히 습득하고 한글을 다 깨우친 후에 중국어 습득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중언어습득시

      1.집에서 언어를자주쓰면괜찮음

      2.지금은 느려보일수있음

      3.결국 시간이지나면 남들보다빠른언어습득능력가짐.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차이가 있지만 중요한 점은 조기 외국어 교육이 주 언어 발달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양립성을 유지하고, 아이의 자발적 흥미와 수준에 맞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성향과 가정 환경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부담감을 주지 않는 선에서 언어 경험을 제공하면 언어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두가지 언어를 배우면 아이가 햇갈려할수 있고

      주된 언어의 발달을 오히려 느리게 할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혼란이 줄 수 있습니다.

      두가지 언어를 사용하면서 아이가 언어적 혼란을 받아

      말이 오히려 느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만 2세가 될 때까지는 한글 교육에 집중하는 게 좋답니다

      조기 외국어를 가르칠 땐, 되도록, 아이가 만2세경이 되어서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이 잘 되면, 그 때 외국어를 시키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이중 언어를 구사한다면 하나의 언어를 배우는 것보다는 속도가 느릴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어렸을 때부터 부모로부터 이중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면 두 언어가 골고루 균형 있게 발달될 것입니다. 만약 한국에서 지낼 예정이고 한국어 발달이 걱정된다면 한글 책과 한국어 영상 등 한국어 노출 빈도를 더 늘려준다면 분명 실력이 더 향상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기 외국어는 아기에게 아무래도 모국어와 혼동이 되서 그럴 수 있으니, 어느 정도 한글을 배우고 난 후 익히면 될 것 같아요

      3세 무렵까지는 뇌에 주는 자극이 뇌의 기능에 크게 영향을 주므로 교육의 시작 시기가 빠를수록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조기 교육의 이면에는"더 빨리, 더 높이, 더 정확하게"라는 것이 존재하고 눈에 보이는 것들만을 중시하고,경쟁 원리가 작동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