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청렴한참고래279
청렴한참고래27922.10.31

부동산에서 입지가 좋다는건??

부동산은 입지라는 말이 많은데요,,

그 입지가 좋은 기준은 정확하게 어떤기준일까요??

사람들마다 기준이 다른건지 통상 입지의 기준은 멀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31

    안녕하세요. 서주환 공인중개사입니다.


    사람마다 다르지만 그래도 더 유리한, 더 많은 사람들이 호감을 갖는 입지는 있습니다.


    대중교통이 좋은곳, 즉 지하철 역세권

    교육 환경이 좋은고, 강남 목동 등

    주변 편의시설이 좋은 곳

    대기업등 충분한 수요가 있는곳

    이런곳들은 좀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기에 수요공급의 원칙에서 유리하다고 볼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개인마다 기준이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좋아 하는곳들이 있습니다.

    회사가 많고 가까운 곳, 지하철역 주변, 학군이 좋은곳등등입니다.

    서울은 대체로 강남 접근성이 좋을수록 입지가 좋다고 보기도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빈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적으로 교통과 학군 편의시설과의 근접성


    인근거주자의 숫자. 향후 개발가능성 등등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항목이 있고


    상가이냐 주택이냐에 따라 다르게 판단할


    요소들이 있죠


    예를 들어 유흥주점을 할 상가가 학군이 좋은 곳에


    있다고한들 아무 소용이 없겠죠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부동산에서 입지가 좋다는 것은 특정 목적에 맞는 사회적, 경제적 여건 등이 우수하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경우 업종별로 다르게 평가되는 만큼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입지를 결정하는 요소는 매우 다양하지만, 개인적인 중요도에 따라 선택의 차이가 있다고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흔히들 교통이 편리하거나 ,교육 환경이 좋은곳, 상권이 발달한 곳, 자연환경 이나 주변 환경이 좋은 곳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중 어느것을 우선할지는 개인의 목적(주거인지, 장사인지) 등에 따라 선택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부동산 입지는 고정되어 있는 부동산의 특성이 있기에 접근성에 따라 편리함이 결정되고 이는 부동산가격으로 나타나게 되어진다고 나와 있습니다. 즉 중심을 기준으로 거리의 변수에 따라 부동산 가격이 정해진다는 이론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입지가 좋다는 것은 누구든지 거기기에 살면 이점이 많다는 뜻이지요.


    역세권 등이 교통 접근성입니다.

    지하철 역근처나 고속도로 IC, 출퇴근의 편리성 등이 그것입니다.

    주변의 기반시설 등의 인프라가 구축된 단지입니다.

    보통 신축 대단지를 중심으로 잘

    계획된 도심 아파트들은, 학교, 시장 마트, 공원 주민 편의시설 등이 잘 어우려져서 생활하기에 편리하고, 자연스럽게 그 지역 주택의 구매 선호도가 높아지니 입지가 좋다라고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완벽한 절대치는 아니고, 대다수 사람들에 의해서 그렇게 평가가 되고 있어서 가치가 있게 된 것입니다.


    이상으로 답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