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관리
소화를 못하는것과 설사의 관계가 무엇인가요
소화를 못하는 영양소나 물질을 많이 먹게되면 복통이나 설사 유발을 한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소화를 못하는것과 설사의 관계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
질문 잘 읽어보았습니다.
소화를 못하는 것과 설사의 관계는 꽤 밀접합니다. 우리 몸은 음식속 영양소를 소화효소로 잘게 분해해 흡수하는데 만약 어떤 영양소나 물질이 제대로 소화되지 못하면 장내에서 흡수되지 않은 채로 남게 됩니다.
이렇게 소화되지 않은 물질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설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삼투압 작용입니다. 소화되지 않은 당류나 지방이 장에 남아있다면 주변에서 수분이 장 안으로 끌려 들어와서 대변이 묽어지고 설사가 생깁니다.
2
장내 세균 발효입니다. 흡수되지 못한 영양소는 대장에있는 세균의 먹이가 되서 가스를 발생시키고 장을 자극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복통, 팽만감, 설사가 동반될 수 있답니다.
3
장 점막 자극입니다. 특정 음식이나 물질이 소화가 안되면 장에 부담을 줘서 염증 반응을 일으키고 장의 연동 운동을 과도하게 촉진시키고 이로 인해 대변이 빨리 배출되면서 설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화를 못한다는 것은
단순히 영양소가 흡수되지 않는 문제에 그치지 않고 장내환경을 불안정하게 만들어 물리적, 화학적 자극을 일으키며 설사와 같은 증상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