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식습관·식이요법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소화를 못하는것과 설사의 관계가 무엇인가요

소화를 못하는 영양소나 물질을 많이 먹게되면 복통이나 설사 유발을 한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소화를 못하는것과 설사의 관계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

    질문 잘 읽어보았습니다.

    소화를 못하는 것과 설사의 관계는 꽤 밀접합니다. 우리 몸은 음식속 영양소를 소화효소로 잘게 분해해 흡수하는데 만약 어떤 영양소나 물질이 제대로 소화되지 못하면 장내에서 흡수되지 않은 채로 남게 됩니다.

    이렇게 소화되지 않은 물질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설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삼투압 작용입니다. 소화되지 않은 당류나 지방이 장에 남아있다면 주변에서 수분이 장 안으로 끌려 들어와서 대변이 묽어지고 설사가 생깁니다.

    2

    장내 세균 발효입니다. 흡수되지 못한 영양소는 대장에있는 세균의 먹이가 되서 가스를 발생시키고 장을 자극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복통, 팽만감, 설사가 동반될 수 있답니다.

    3

    장 점막 자극입니다. 특정 음식이나 물질이 소화가 안되면 장에 부담을 줘서 염증 반응을 일으키고 장의 연동 운동을 과도하게 촉진시키고 이로 인해 대변이 빨리 배출되면서 설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화를 못한다는 것은

    단순히 영양소가 흡수되지 않는 문제에 그치지 않고 장내환경을 불안정하게 만들어 물리적, 화학적 자극을 일으키며 설사와 같은 증상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