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근로계약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정년은 60세이지만 2010년부터 현재까지 퇴직평균연령은 50세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현재 근로자규정에서 정년은 60세인것으로 되어있으며 향후 정년연장을 해도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데요.

즉 2010년부터 현재까지 정년과 상관없이 평균연령은 50세로 전혀 추세가 변한게 없는데요. 왜 이런 흐름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 배경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근로자 스스로 자발적 퇴사를 하여 다른 직업을 찾는 경우도 있고 회사의 경영상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회사에서 사직권유를 하여 권고사직으로 퇴사하는 경우도 있을걸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

    1. 기업에서 대부분 정년을 만 60세로 규정하고 있긴 하나, 그 전에 희망퇴직 등을 실시하여 실제 정년을 채우고 퇴직하는 경우가 많진 않기 때문입니다.

    2. 공공기관 또는 공무원의 경우 정년을 채우고 퇴직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긴 하나, 일반 사기업의 경우에는 대기업 같은 경우에도 정년에 앞서 희망퇴직 등으로 조기에 퇴직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