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부동산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집 대출이 몇 프로까지 있어야 안전한가요?

제가 이사 가야 하는 집이 있는데 문제는 집 대출이 30%가 있는데요 전세로 가야 하는데 조금 너무 걱정이 되는데 몇 프로까지는 안전한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강애 공인중개사
      이강애 공인중개사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하고자 하는 주택에 따라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다면 신중하게 판단 하셔야 합니다.

      시세대비 30%라고 짐작이 되는데 시세란 언제든지 가격변동이 있을 수 있고 근저당권설정금액 외 선순위금액이 있다면 30%도 위험 할 수 있습니다. 선순위금액과 입주하고자 하는 임차인의 보증금액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습니다. 매매가대비 근저당권 +보증금액 =80%를 초과하면 깡통전세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보증금과 대출을 합해서 집값의 70%을 넘어가면 위험하다고 봅니다

      금액을 합치면 어떻게 되는지 따져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전세로 들어가는경우 대출이 있는집은 무조건 피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제가 이사 가야 하는 집이 있는데 문제는 집 대출이 30%가 있는데요 전세로 가야 하는데 조금 너무 걱정이 되는데 몇 프로까지는 안전한 건가요?

      ==> 우선적으로 임대차계약이 전세인 경우 전액 말소를 주장하시는 것이 적절해 보이고 월세인 경우 보증금 규모를 가지고 판단해야 하는데 '최우선변제금액에 해당되는지 등'을 고려하여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 판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