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지혜로운라마카크88
지혜로운라마카크8823.03.19

계란을 삶으면 계란과 껍질 사이에 막이 생기나요?

삶은 계란을 먹을 때 껍질과 계란 사이 얇은 막이 있고, 이 막이 잘 분리될 때 계란이 쉽게 벗겨지는데 계란을 삶게 되면 막이 생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계란을 삶거나 끓이면, 달걀 흰자와 노른자 주위에 있는 비닐틀 같은 막이 형성됩니다. 이 막의 정확한 구조는 여전히 연구 중이지만, 이러한 막은 살아있는 달걀에게서도 관찰됩니다. 즉, 삶거나 끓인 과정에서 막이 생성되는 것은 살아있는 동물에서도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막은 계란의 pH와 관련이 있습니다. 계란 흰자는 pH가 7.6이고, 노른자는 pH가 6.0에서 6.5 사이입니다. 삶거나 끓이는 과정에서, 달걀 흰자와 노른자는 단백질이 응고하고 응축되면서 수분이 증발합니다. 이로 인해 단백질과 물질간의 상호작용이 변화하면서 막이 형성됩니다.

    이러한 막은 계란이 쉽게 벗겨지는데 도움을 줍니다. 살아있는 달걀에서는 막이 발생하지만, 이는 생명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계란을 삶게 되면 막이 더욱 분명하게 나타나고 달걀 껍질과 분리되어 쉽게 벗겨질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계란을 삶으면 계란과 껍질 사이에 얇은 막이 생깁니다. 이 막은 계란 흰자와 껍질 사이에 생성되는 것으로, 보통은 계란의 신선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실제로 계란을 냄비에 넣고 물을 끓이면, 계란 흰자와 노른자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물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팽창하게 됩니다. 이 때, 공기가 계란 흰자와 껍질 사이에 차단막 역할을 하는 얇은 막을 형성합니다. 이렇게 막이 형성되면 껍질과 흰자 사이에 공기와 물이 새지 않게 되어 계란이 삶아질 때 껍질이 깨지지 않고 계란이 살아남도록 돕게 됩니다.

    막은 계란의 신선도에 영향을 받으며, 신선한 계란일수록 막이 잘 형성됩니다. 계란이 오래된 경우 막이 형성되지 않거나 더 얇게 형성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난각막은 먹어도 상관없습니다. 계란껍데기도 소량은 괜찮습니다. 다만 많은 양이나 칼슘 섭취를 목적으로 계란껍데기를 가공과정없이 섭취하는 것은 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두 가지로 나누어서 답변을 드립니다.


    먼저 난각막에 대한 부분입니다.


    계란의 난각(껍데기)과 난백(흰자) 사이에 존재하는 하얀 막을 난각막이라고 합니다.


    난각막은 외난각막과 내난각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두 막이 식는 속도 차이로 기실(공기주머니)이 형성 됩니다.(기실은 둔부 끝에 위치하며 저장기간이 경과할 수록 커집니다.)


    계란의 방어기전을 보면 먼저 난각표면에 큐티클 이라는 물질이 표면을 둘러싸고 있어서 미생물이나 이물질이 난각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난각막은 난각을 통해 들어올 수 있는 미생물이나 오염물질을 차단하고 내부의 수분과 이산화탄소는 배출하고, 외부의 수분 침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반투과성막 입니다.


    난각막의 주성분은 단백질이며, 각종 아미노산과 천연보습인자가 풍부합니다.


    특히 아미노산의 조성이 인체피부 표피 아래에 있는 진피단백질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조성과 유사하여 피부의 탄력성과 신축성을 증가하고 피부재생력이 뛰어나 본초강목에서도 창상의 치료에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을 만큼 피부재생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계란을 삶게 되면, 계란 흰자와 노른자 사이에 있는 희백색 막인 삼층막(Serious Membrane)이 형성됩니다. 이 삼층막은 노른자 주위를 감싸고 있으며, 껍질과 매우 밀착되어 있습니다.

    삼층막은 계란 내부를 보호하고,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합니다. 또한 삼층막이 형성되면 계란의 맛과 질감도 개선됩니다.

    삼층막은 삶는 동안 형성되는 이유는, 삶음으로 인해 계란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서 삼층막이 분비되기 때문입니다. 삼층막은 단백질과 함께 형성되며, 살균효과를 가지고 있어 계란이 오래 보관되어도 부패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삼층막이 잘 벗겨지면 계란 껍질과 함께 노른자와 흰자가 더욱 쉽게 분리됩니다. 이는 삼층막이 계란 껍질과 붙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계란을 삶기 전에 물에 담가 몇 분 정도 방치하면, 삼층막이 풀어져서 계란 껍질과 노른자-흰자가 더 쉽게 분리됩니다.


  • 계란을 삶으면 계란과 껍질 사이에 막이 생깁니다. 이 막은 삶은 과정에서 계란 흰자와 껍질 사이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바이러스나 세균이 계란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겨납니다. 또한 이 막이 계란과 껍질 사이에서 분리되는 것은, 삶은 과정에서 물기와 열에 의해 계란 흰자와 막 사이에 존재하던 미세한 공기 포자가 팽창하여 막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막은 계란의 표면적을 줄여주어 껍질과 계란 막 사이의 공간을 적게 만들어 껍질을 더 쉽게 벗길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계란을 삶으면 계란과 껍질 사이에 얇은 막이 생깁니다. 이 막은 계란 흰자와 껍질 사이에 위치하며, 계란 흰자가 고온과 압력에 의해 응고되면서 형성됩니다. 이 막은 보통 계란의 끝 부분에 가까이 위치하며, 계란을 까는 과정에서 쉽게 제거됩니다. 이러한 막은 계란을 삶을 때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건강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본래 있던 막으로 삶아서 생긴 막은 아닙니다.

    계란은 가장 외부 껍데기라 부르는 난각이 있고, 그 안쪽으로 내부를 보호하는 난각막이 있습니다.

    말씀하신 막이 바로 이 난각막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계란을 삶게 되면 계란흰자와 계란노른자를 둘러싸고 있는 막(쉘 멤브레인, shell membrane)이 생성됩니다. 이는 계란을 구성하는 단백질 중 하나인 콜라겐(collagen)이 막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계란이 삶아짐에 따라 단백질 구조가 변형되면서 콜라겐 섬유들이 막을 형성합니다.

    쉘 멤브레인은 계란 내부를 보호하고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도 합니다. 게다가, 쉘 멤브레인이 적절히 분리되면 계란껍질을 제거하기 쉬워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