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머쓱한호박벌232
머쓱한호박벌23223.02.01

가정용 인덕션의 원리가 궁금 합니다.

요즈음 가스레인지 대신 인덕션을 사용하는 추세로 변하고 있는데, 전기와 직접적이 접촉 없이 열이 가해져서 요리가 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1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인덕션의 원리는 전기와 자석의 원리로 열을 발생시키는 것입니다.

    즉 전선에 전기가 흐르면 그 전선 주변에 자기장(자석의 힘)이 생기게 됩니다. 이 자기장이 철판(냄비)을 만나게 되면 맴돌이 전류가 생성되면서 열이 함께 발생을 하게 됩니다. 이때 더 강한 전류를 흘려주게 되면 열이 더 많이 발생을 합니다. 그러면 인덕션의 세기를 전류 양으로 간단하게 조절이 가능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인덕션은 자기장을 이용한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방식입니다. 구리나 철선이 감긴 코일에 교류 전류를 흘리면 코일 주변에 자석처럼 자기장이 발생합니다. 변화되는 자기장속에 도체가 놓이면 그 도체에는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인덕션 바닥 내부에는 코일이 있어 거기에 전류가 흐르고, 그 위에 도체 성분의 냄비가 놓이면 냄비 바닥에 소용돌이 모양으로 전류가 흐르게(이를 와류전류라고 합니다.) 되어 냄비 바닥만 데워지는 원리입니다. 사용하는 냄비는 전류가 잘 흐르는 인덕션 전용 냄비여야 됩니다. 바닥이 얇은 양은 냄비나 유리냄비, 세라믹 냄비 등 전류가 흐르지 못해 인덕션 렌지에 사용하지 못합니다. 인덕션 사용 가능 냄비에는 "INDUCTION" 이라는 표시가 있습니다.


  • 인덕션은 전자기유도로 열을 만듭니다.

    내부의 구리나 도선 주변에 자석등으로 자기장을 변화시키면 전압이 발생하여 전류가 만들어집니다.

    인덕션 내부에 원형으로 둘러싼 코일이 있어서 고주파 전류를 흘러 와전류가 형성됩니다.

    그리고 이 전류가 금속의 저항에서 만나게 되어 충돌하게 되고 열 에너지로 변환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인덕션은 말그대로 inductive(유도성)

    전기관련 용어입니다 그러니까 쉽게 풀어서 말하자면

    (이해를 돕기위해 전문적인 용어는 배제하겠습니다)


    인덕션안에는 코일이있습니다 코일에 전기를 흘리면 열이발생하고 그열이 "유도"되어 전류가 생깁니다 그 전류가 냄비와 반응을 하고 열을 발생시킵니다

    (전용냄비가 있는 이유가 이러한것이죠)


    비슷한 예로 무선충전기를 예로 들수가 있습니다

    무선충전기는 영어로 wireless(무선) charger가 아니라

    위에 설명드렸다시피 inductive charger라고 부릅니다

    무선충전기 안에도 코일이 있으며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유도"하여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원리인것이죠

    최신형 아이폰 뒷면도 그러한 원리지요


    아마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게 무선충전기를 인덕션 충전기가 아니라 무선충전기라고 지은것으로 생각됩니다


    인덕션의 이름의 유래와 원리가 이해되셨으면 추천부탁드립니다



  • 인덕션 상판유리아래에 있는 코일에 전류를 보내게 되면 코일에 자력을 발생 됩니다.

    발생된 자력이 상판에 놓인 냄비의 바닥을 통과 할때 냄비의 주재료인 저항성분 즉 철성분에 의해 와류전류가 만들어 집니다.

    이때 용기인 냄비만 가열되어 음식이 조리 됩니다. 저항성분이 없는 인덕션 상판유리나 냄비의 플라스틱에는 와류전류가 발생하지 않아 가열되지 않습니다.

    하여 인덕션은 철성분이 함유된 전용 냄비를 사용 하여야 음식을 가열 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인덕션은 자기장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원리입니다. 인덕션에서 자기장을 보내주면 냄비에 들어오는 자기장이 전류로 변환이 됩니다. 이 전류가 코일을 흐르면서 저항성분이 있기에 열을 발생시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