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사로서 국제 무역 환경의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관세사로서 국제 무역 환경의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특히 최근의 무역 전쟁, FTA 체결, 그리고 글로벌 공급망 변화가 관세사 업무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적응 전략을 논의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추가적인 무엇인가가 생긴다면 관세사로서는 수익창출의 기회가 됩니다. 그리고 글로벌 공급망 변화를 미리 감지 하여 영업이 가능하며, FTA 체결 시에는 이를 기초로 타 기업에 미리 영업도 가능합니다. 즉, 기회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관세사로서 최근의 국제 무역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합니다: FTA 전문성 강화를 통해 FTA 네트워크가 확대됨에 따라 각 협정의 특성과 원산지 규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해 기업들의 FTA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협정별 특징과 활용 전략에 대한 컨설팅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무역 전쟁과 팬데믹으로 인한 공급망 재편에 대비해, 새로운 무역 경로와 관련 규제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기업들의 리쇼어링이나 니어쇼어링 전략에 따른 관세 및 통관 자문 능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 향상도 중요합니다. 전자상거래의 증가와 디지털 무역의 확대에 대응하여 관련 규제와 절차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블록체인, AI 등 신기술을 활용한 통관 및 물류 시스템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합니다. 환경 및 지속가능성 관련 규제 대응을 위해 탄소국경조정제도 등 새로운 환경 관련 무역 규제에 대한 이해와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합니다. 신흥시장 진출 지원으로 신남방, 신북방 정책 등에 따른 새로운 시장 진출 시 필요한 관세 및 통관 자문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법률 및 규제 변화 모니터링을 위해 무역 관련 법규와 국제 협정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능력이 중요하며, 산업별 특화 전략으로 전자, 자동차, 농식품 등 주요 산업별 특성에 맞는 관세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관세사는 변화하는 무역 환경에 적응하고, 기업들에게 더 가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FTA의 복잡성 증가,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 그리고 새로운 무역 규제의 등장은 관세사의 역할을 더욱 중요하게 만들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핵심적인 적응 전략이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관세사의 가장 주요한 업무는 통관으로서 실제 국가간 무역분쟁 등의 사유로 수출입건수 자체가 감소한다면, 이에 따른 위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문제는 단순 무역업체 뿐 아니라 관세사들에게도 영향이 있는 것입니다.
관세사로서 새로운 업무영역을 개발하는 것은 꽤 힘든일이지만, 결국 각 관세사만의 경쟁력을 살려서 경쟁시장에서 살아남아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관세사의 고유업무는 수출입통관이지만 최근에는 컨설팅업무도 많이 진행하고 있습니다. 급변하는 국제무역환경에서 기업에서 요구되는 FTA 및 수출입통관과 관련된 컨설팅 등을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