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자격증

전기기사·기능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곰돌이 자로입니다 전기가 통하고 있을 때 활선 작업을 하는 분들이 있던데요 사다리 위에서 어떻게 하면은 전기 감전이 안 되면서 작업을

안녕하세요 곰돌이 자로입니다 전기가 통하고 있을 때 활선 작업을 하는 분들이 있던데요 사다리 위에서 어떻게 하면은 전기 감전이 안 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택상 전기기사
    유택상 전기기사
    서울교통공사 검수팀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활선 작업 중 감전을 예방하려면 몇 가지 안전 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첫째, 절연체가 사용된 사다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리섬유나 나무로 제작된 사다리는 전기가 통하지 않아 감전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둘째, 작업할 때는 항상 절연 장갑과 전기 보호 장비를 착용하여야 합니다. 셋째, 작업 전 반드시 전압 검출기 등을 사용해 작업 환경의 전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항상 3인 1조로 작업하여 비상 상황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는 것이 안전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

    활선에서 작업을 하시는 분들은 그 만큼 그 분야에서 배테랑으로 일하고 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안전을 위해 절연모, 절연장갑 등 안전 장비들을 충분히 갖추신 후에 작업을 하십니다.

    물론 간혹가다 사고를 당하시는 안타까운 소식들도 들리긴 합니다.

    사다리 위헤서 작업을 하더라도,

    안전수칙과 안전장비를 충분히 갖춘다면 사고 없는 작업이 가능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 활선작업 할때는 제일 중요한것이 안전장비에요.

    가끔 뉴스에 작업 중 감전으로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지는데요.

    감전의 위험을 막기 위해서는 절연재료를 사용해야 하죠.

    *절연 안전모 : 머리를 전기적, 기계적 충격으로 방호하기 위해 사용.

    *절연고무장갑 :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보호구.

    *절연복 : 상반신 감전방지용으로 사용(비질, 우레탄고무 등)

    *절연 고무장화 : 내전압성이 강한 고무로 다리부분 감전을 방지.

    작업자가 지켜야할 안전수칙

    *작업자는 머리위 30cm, 몸 옆 또는 발밑으로 60cm의 접근한계 거리를 유지.

    *활선작업용 기구 및 장치를 사용.

    *접촉 가능성이 큰 노출 충전부분에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

    *감전의 위험이 존재하는 작업시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관계자에게 알림.

    활선작업은 안전장비와 안전수칙만 준수한다면 감전될 확률이 줄어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