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곰돌이 자로입니다 전기가 통하고 있을 때 활선 작업을 하는 분들이 있던데요 사다리 위에서 어떻게 하면은 전기 감전이 안 되면서 작업을
안녕하세요 곰돌이 자로입니다 전기가 통하고 있을 때 활선 작업을 하는 분들이 있던데요 사다리 위에서 어떻게 하면은 전기 감전이 안 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활선 작업 중 감전을 예방하려면 몇 가지 안전 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첫째, 절연체가 사용된 사다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리섬유나 나무로 제작된 사다리는 전기가 통하지 않아 감전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둘째, 작업할 때는 항상 절연 장갑과 전기 보호 장비를 착용하여야 합니다. 셋째, 작업 전 반드시 전압 검출기 등을 사용해 작업 환경의 전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항상 3인 1조로 작업하여 비상 상황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는 것이 안전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
활선에서 작업을 하시는 분들은 그 만큼 그 분야에서 배테랑으로 일하고 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안전을 위해 절연모, 절연장갑 등 안전 장비들을 충분히 갖추신 후에 작업을 하십니다.
물론 간혹가다 사고를 당하시는 안타까운 소식들도 들리긴 합니다.
사다리 위헤서 작업을 하더라도,
안전수칙과 안전장비를 충분히 갖춘다면 사고 없는 작업이 가능 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 활선작업 할때는 제일 중요한것이 안전장비에요.
가끔 뉴스에 작업 중 감전으로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지는데요.
감전의 위험을 막기 위해서는 절연재료를 사용해야 하죠.
*절연 안전모 : 머리를 전기적, 기계적 충격으로 방호하기 위해 사용.
*절연고무장갑 :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보호구.
*절연복 : 상반신 감전방지용으로 사용(비질, 우레탄고무 등)
*절연 고무장화 : 내전압성이 강한 고무로 다리부분 감전을 방지.
작업자가 지켜야할 안전수칙
*작업자는 머리위 30cm, 몸 옆 또는 발밑으로 60cm의 접근한계 거리를 유지.
*활선작업용 기구 및 장치를 사용.
*접촉 가능성이 큰 노출 충전부분에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
*감전의 위험이 존재하는 작업시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관계자에게 알림.
활선작업은 안전장비와 안전수칙만 준수한다면 감전될 확률이 줄어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