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사람의 혈액은 빨간색인데 곤충의 피는 투명하거나 초록빛을 띠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사람의 혈액에는 적혈구가 들어있고 적혈구 속에 들어 있는 헤모글로빈으로 인해서 빨간색이 나타난다고 들었습니다. 이처럼 사람의 혈액은 빨간색인데 곤충의 피는 투명하거나 초록빛을 띠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사람과 곤충의 혈액 색이 다른 이유는 혈액 속에 산소를 운반하는 물질의 종류와 혈액 세포 구조적 차이 때문인데요, 우선 사람을 포함한 척추동물의 혈액은 헤모글로빈을 가지고 있는데 헤모글로빈은 철(Fe²⁺)을 포함한 헴 그룹을 가지고 있어 산소와 결합합니다. 이때 산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은 밝은 빨간색을 띠고, 산소가 떨어지면 어두운 빨간색을 띠게 되며 혈액 내 적혈구가 이 헤모글로빈을 가득 담고 있기 때문에 혈액 전체가 빨간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반면에 곤충은 사람처럼 혈액에서 산소를 운반하지 않는데요 곤충은 트라케아 기관이라는 기체 수송 시스템을 통해 직접 세포로 산소를 공급하기 때문에 따라서 곤충의 혈액은 헤모글로빈이 필요 없어서 대부분 무색 투명입니다. 일부 곤충에서는 헤모시안을 산소 운반 단백질로 쓰는데, 이는 구리(Cu²⁺)를 포함하고 있어서 산소와 결합하면 파란빛을 띠기도 하며 또한 말씀해주신 것처럼 다른 곤충이나 무척추동물에서는 혈액에 색소가 거의 없거나, 기타 대사 물질이나 식물성 색소 때문에 초록빛을 띨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곤충의 혈액이 투명하거나 초록빛을 띠는 것은 혈액 내에 산소를 운반하는 혈색소가 없거나, 사람의 헤모글로빈과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의 혈액은 철(Fe)을 포함한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하여 붉게 보이지만, 곤충은 대부분 혈관이 없는 개방 순환계를 가지며 혈림프라는 액체가 몸속을 순환합니다. 곤충의 혈림프는 산소 운반의 주된 역할을 하지 않으며, 영양분과 노폐물을 운반하는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투명하거나, 식물성 먹이의 색소로 인해 녹색이나 노란색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 사람의 혈액이 빨간색인 이유는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에 철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하면 붉은색을 띠게 띄죠.

    반면 곤충의 피가 투명하거나 초록빛을 띠는 것은 혈액의 기능과 구성 성분이 사람과 다르기 때문입니다.

    좀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곤충은 혈림프 대신 몸 전체에 퍼져 있는 기관을 통해 외부 공기를 직접 세포에 전달하여 산소를 공급합니다. 이 때문에 산소를 운반하는 색소가 필요 없어서 혈액이 투명하거나 색이 옅은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일부 곤충의 혈림프는 엽록소나 카로티노이드 같은 식물 색소의 영향을 받아 초록색이나 노란색을 띠기도 하고, 게나 거미처럼 헤모시아닌이라는 구리 기반의 호흡 색소를 가진 곤충의 경우, 산소와 결합했을 때 푸른색을 띠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곤충은 산소 운반을 주로 기관으로 하기에 혈액에 헤모글로빈이 없어 투명, 연녹색이랍니ㅏㄷ.

    대신 혈림프라 불리는 체액에 녹색 색소가 섞여 색이 달라질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