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플리한라이트머스
플리한라이트머스

아이들 성교육은 어떤 시기에 어떤 방식으로 해야 하는건가요?

아이들의 키우다보면 남자와 여자의 차이점에 대해 아이들이 궁금해하는 시점이 다가오게 되는데요. 성교육이라고 하는 걸 언제, 어떻게 아이들에게 해줘야할지 참 어렵습니다.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들의 성교육을 하는 방식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성교육은 특별히 성별의 구분, 성교육의 시기가 별도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어린이집에 들어가면 교육과정에 성교육이 계획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성교육을 시작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부모님이 성교육을 하고 싶다면

    아이와 함께 그림책이나 성교육 관련 동영상을 보고 자연스럽게 이야기 나누면 될 것 같습니다.

    아무런 매체 없이 접근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니 말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언젠가는 아이들에게 성교육을 해야하는 순간이 다가오는데요. 사실 아이에게 억지로, 굳이 성교육 자체를 붙잡아 두고 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이미 성교육을 받고 있는 거나 마찬가지인데요. 어린이집에 가게 되면서부터 사실 성교육이라는 게 시작하게 됩니다. 교육과 정상에도 어린이집 부터 성교육이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남자와 여자와의 차이점에 대해서인지를 하게 되는 네다섯 살 무렵부터는 아이가 궁금해하거나 질문을 하게 되면 그 부분에 대해 아이의 언어에 맞게 자연스럽게 설명해 주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의 성교육은 만4세에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4세 시기면 엄마.아빠가 다른 성임을 인지하는 시기 이기 때문에 이 시기 부터 성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좋아요.

    성교육은 부모님이 직접 해주셔야 하며 신체기관의 명칭과 그 역할에 대해 정확하게 설명을 해주셔야 합니다.

    성교육 동화와 영상을 참고해서 아이의 성교육 지도를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성교육의 기본 목표는 내 몸을 소중히 여기고 타인의 몸도 소중히 여기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에게 성교육을 하는 시기는 자연스럽게 그들의 호기심이 생길 때 입니다. 나이에 맞추어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5세 유아기 때는 아이들에게 신체 부위의 이름을 정확하게 알려주고, 사적 공간의 개념을 설명해 주세요.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는 남자와 여자의 신체적 차이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은 사춘기에 접어드는 시기이므로 생리, 정자, 난자, 생식기, 월경 등 생리적 변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성장하는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것이 성교육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성교육 자체가 쉽게 하기는 힘들기는 하겠지만 건강하고 올바른 성적 가치관을 가질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의 교육도 필요하지만 가정에서의 교육도 매우 중요하다고 봅니다. 아이들의 성교육은 아이가 성에 관심이 있고 궁금해서 물어볼때 해주시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성교육을 할때는 연령대에 맞게 아이의 눈높이에서 이해할수 있도록 성교육을 해주는 것이 좋으며 성에 관련된 책이나 영상등을 보여주면서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의 성교육은 적절한 시기와 방식이 중요합니다.

    먼저, 성교육은 아주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유아기에는 몸의 명칭을 정확히 가르치고, 남자와 여자의 차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는 아이가 질문할 때마다 사실적이고 간단하게 대답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는 친구와의 관계, 사생활의 중요성, 동의의 개념 등을 설명하며 점진적으로 성교육을 확대해 나갑니다. 이 시기에는 아이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설명하고, 개방적이고 편안한 분위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등학교 고학년부터는 보다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 시기에는 성적 발달, 생리와 같은 신체 변화, 성적인 감정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야 합니다. 또한, 인터넷과 미디어에서 접할 수 있는 성 관련 정보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성교육은 한 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성장 단계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부모는 아이의 질문에 솔직하고 정확하게 답하며, 성에 대해 개방적이고 편안하게 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건강한 성 인식을 가지고 성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