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의료 보험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70대 이상 노인 인구에게 병원비 지원 혜택은 어떤식으로 되는 건가요?

70대 이상 노인의 경우 병원비 상한선 혜택으로 일정 부분에 대해서는 차감해주는 혜택이 있다고 하는데, 모든 고령 인구에 해당하는 정책인가요?! 어떠한 조건이 있어야 하는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지연 손해사정사입니다.

    만 65세 이상 고혈압약 고지혈증약 당뇨병 처방등 의원급에서는 1500원 진료 가능한 부분을 이야기 하시는 걸까요?
    아니면 임플란트 급여적용하는 기준이나 인공관절치환술 혜택? 백내장 수술? 본인부담상한제? 그런 부분일까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70대 이상 노인 대상의 병원비 지원 혜택은 소득 및 재산 수준에 따른 건강보험료 경감, 틀니 및 임플란트 시술비 일부 지원, 그리고 무료 예방접종 등이 있는데요. 모든 고령층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70세 이상 노인만으로 구성된 세대이고 소득, 재산 기준을 충족하면 건강보험료를 최대 30%까지 경감받을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틀니, 임플란트 시술비의 70%를 지원받고요. 소득에 따라 본인 부담률이 달라지거나 65세 이상 무료 독감 예방접종 혜택도 있습니다. 진료 시 혜택을 받으려면 신분증이나 경로 우대 카드를 꼭 지참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70대 이상뿐만 아니라 모든 건강보험을 납부하시는 분들이 받으실 수 있는

    의료비 본인부담상한제를 말씀해주시는것으로 보입니다.

    1년동안 소득분위 별로 일정 금액 이상의 의료비를 지출하게되면

    차후년도에 상한선 이후의 의료비(급여부분)를 다시 건강보험공단에서 환급해줍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이는 기본적으로는 노인의 경우 병원비를 직접 내고, 일정한 병원비가 넘어선 경우에 한해서는 건강보험공단에서 일정한 금액을 지원해주는 제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는 나의 경제적 형편에 따라 본인부담 상한액이 다르며, 이는 저소득층을 기준으로 한다면 120만원을 기준으로 이 금액을 초과할 경우 환급해서 내가 돌려받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정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만 65세 이상일 경우 동네 의원급 외래진료시 본인부담금이 경감됩니다. 30%에서 20%로 경감되고, 대학/종합병원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자동으로 적용되는 제도로 별도의 신청은 필요없습니다.

    그외 저소득 고령자의 경우 의료급여 수급자가 될경우 자기부담금이 적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욱 보험전문가입니다.

    정확히는 65세이상의 노령인구에 대해서는

    일부 급여 의료비의 공단부담 비율이 올라

    실제 결제하게되는 본인부담비중이 줄어드는 의료비 감면혜택을 받으며

    치과에서는 임플란트를 저렴한 가격으로 인당 2개에 한하여

    나라에서 지원해줍니다.

    70세 이상에는 건강보험료 납부시 보험료 감면 혜택을 받으실 수 있고요.

    다만 정보의 범위가 워낙 넓은 만큼

    필요하신 정확한 내용은

    건강보험공단 문의를 통해 확인해보시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영근 보험전문가입니다.

    일단 70대 이상 노인분들은 건강보험 적용으로 병원비 부담이 줄어드는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모든 고령자분이 동일한 혜택을 받는 것은 아니며 소득/재산 기준이나 자격 요건에 따라 본인부담 상한제나 의료 급여 제도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정식 보험전문가입니다.

    만 65세 이상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가 기본 대상이며 일부 지원은 소득 및 재산 소득 중위 50% 이하 재산 1억 3500만원 이하의 조건이 필요합니다
    추가 지원을 희망하시는 경우 주민센터 복지과에 문의를 통해 가능 여부를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즉 기본적인 의료비 경감은 받으실 수 있으며 추가적인 것을 희망하신다면 주민센터를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