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너그러운비둘기171
너그러운비둘기17121.02.19

개인연금 어디에 넣어야 할까요?

40대 후반입니다. 노후대책으로 개인연금을 넣어볼까 고민중에 있습니다. 어디에 넣어야 하나요? 은행 아니면 보험회사 어디에 어느정도를 넣어야 하는지 기간은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심은술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연금상품은 세금 혜택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세제 적격과 세제 비적격

    세제 적격상품은 연말정산 세액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이며,

    세제 비적격상품은 세액공제혜택을 받지 못하는 대신, 연금수령시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받는 것입니다.

    둘 중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가는 본인이 소득과 자산 현황, 본인의 선택에 따라 달려있습니다.

    세제 적격상품은 연금저축계좌라 하여 보험사의 연금보험, 증권사의 연금펀드, 은행의 연금저축 세 가지가 있습니다.

    보험사의 연금보험은 장기적으로 안정적이며, 증권사의 연금펀드는 수익률이 높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운영을 잘못하면 손실을 볼 수도 있으며, 은행의 연금저축은 저금리시대에 장기적 관점에서는 이익이 적습니다.

    세제 비적격상품은 보험사의 연금보험으로 변액연금이 대표적일 수 있습니다. 펀드와 연금을 함께 갖추는 것으로 최저보증연금액이 있으므로 손실이 있더라도 최저보증연금액으로 150% 이상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세제 적격으로 선택할 것인지, 세제 비적격으로 선택할 것인지는 다양한 상황을 고려해야겠지만,

    세제 적격으로 선택하였을 경우, 절대 해지해서는 안되며, 직장생활도 유지가 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아 중도 해지시 해지가산세는 물론, 그동안 받았던 세액공제 혜택까지도 물어내야 합니다.

    연금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라면, 가급적 비적격 상품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