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

빚을 내어 투자를 해도 되는 시기들이 있나요?

빚을 내어 투자를 해도 되는 시기들이 있나요?

빚을 내서 투자를 하는게 오히려 유리할 수도 있는 시기가 있는건가요?

언제가 그럴때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빚을 내어 투자를 해도 되는 시기가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저라면 빚을 내서 투자는 자신이 살 집을 매수할 때 빼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낮고 경기가 확장적인 국면에서는 빚을 내어 투자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불확실성이 높다면 빚을 내서 투자하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대세 상승장에서 빚을 내서 레버리지 일으켜서 투자를 하는 분들도 제법 있긴 할거 같습니다

    투자경력이 오래되고 잘 아는 분들은 알아서 잘 하겠지만 투자 초보자분들이 빚을 내서 투자하는건 굉장히 위험한 투자고 원금손실도 더 커질 수 있는 투자라 초보자시면 안하시는게 맞을거 같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낮고 자산 가격이 저평가된 시기에는 레버리지 투자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 상승기나 불확실성이 큰 시기에는 빚투가 위험을 키우게 됩니다. 결국 본인의 상환 능력과 시장 사이클을 고려해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빚을 내서 투자(레버리지 투자)는 고수익 가능성을 높이지만, 리스크도 큽니다. 유리한 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저금리 환경: 2025년 9월 Fed 금리 인하(2.25~2.5%)로 대출 금리 낮아지면 차입 비용 감소, 주식·코인 상승 기대가 되는 시점에 레버리지 투자를 검토해 볼만합니다.

    2. 강세장 초기: 코스피 3,500 돌파(9월 기준), 반도체·AI 호재로 상승 모멘텀 강할 때에 봅니다.

    3. 안정적 소득: 직장인 등 고정 소득으로 상환 능력 확보 시에 레버리지 투자가 가능할 듯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 투자는 완전히 바닥권이 올때 써야합니다 이런 상승추세에선 갑자기 큰 가격조정이 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완전 하락추세에서 밸류에이션이 매우 낮은 상황에서 시장에서 신용매물이 터지고 청산이 나오면서 급락을 나올때 레버리지로 투자하면 수익률이 극대화될수 있고 이때는 하방이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극히 제한적이고 특수한 상황에서만 이론적으로 유리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투자자에게는 권장되지 않는 매우 위험한 방법인데요. 투자 시장이 예상치 못한 급변동 없이 꾸준히 상승할 것이라는 전제가 깔린다면 그렇게 하는 게 유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흔히들 빚투는 경제상황이 회복되는 시기입니다.

    왜냐하면 보통 가라앉았다가 다시 회복되는 시기가 금리가 가장 최저점이기 때문인데요.

    이럴 때 부동산이나 주식을 사두면 부동산은 금리를 저렴하게 할 수 있어 좋고

    주식의 경우 기업이 활성화되면서 확률적으로는 수익이 손실보다 높은 수치가 나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는 금리인하시기가 투자의 적기라고 판단됩니다.

    금리인하가 될때는 시중의 자금 유동성이 풍부해지면서 주식이나 가상화폐 시장 활성화가 되어 시세 상승을 노릴수 있습니다.

    때문에 이때 타이밍을 노려 투자하신다면 도움이 되실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빚을 내어도 되는 시기는 특별히 정해진 것은 아닙니다. 다만 코로나 등의 시기와 맞물려서 큰 하락을 한 경우라면 빚을 내어서 투자를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때에는 하락을 한다음 지지가 되거나 또는 더이상 하락을 하지 않을때 들어가는 것으로, 최소한 이러한 충격으로 인한 주가만큼 상승한다면 몇 십 %를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수익이 나는 상황이 나온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는 아무래도 상승장에서 빚투가 늘기는 합니다.

    증권사 신용잔고 또한 상승장때 크게 늘어납니다.

    하지만 상승장은 언제나 영원하지 않고 조정 내지 하락장이 오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빚(레버리지)은 투자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기도 하지만 삐긋하면 더 큰 손실을 볼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