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다시봐도빛나는코스모스
다시봐도빛나는코스모스

친구가 없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희 아이가 집에서는 이야기를 잘하는데, 나가서는 친구들이 없는 것 같아요. 처음에는 시간이 지나면 학교에 잘 적응하고 지내겠지? 했는데 벌써 5학년이 되었는데도 친구가 없는것 같아요. 어떻게 해야 할지 너무 걱정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집에서는 잘 이야기하지만, 학교에서 친구가 없는 상황은 부모로서 걱정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학교에서 친구를 사귀지 못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가 사회적 불안을 느끼고 있는지, 또는 자기 표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첫번째 ,아이에게 학교에서의 상황을 직접 물어보세요.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친구들과 잘 지내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이야기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느끼는 불안이나 두려움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세요.

    두번째, 관심사를 가진 친구를 찾아보는 등 작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시도하게 해보세요.

    세번째, 학교와 협력: 담임 선생님과 상담하여 아이의 학교 생활을 파악하고, 선생님이 학교 내에서 아이가 친구를 사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해보세요. 그룹 활동이나 협력 학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친구를 사귈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네번째, 외부 활동 참여: 학교 외부에서 참여할 수 있는 동아리, 스포츠 활동, 취미 활동 등을 통해 아이가 같은 관심사를 가진 또래들과 만날 수 있도록 지원하세요. 이는 아이가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아이가 천천히 사회적 관계를 넓혀나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친구가 없을 수 있습니다. 이는 아무래서 아이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성격때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이가 조금 소심하거나 조용한 스타일이라고 한다면 부모님께서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이들의 모임을 만들어 주셔서 아이가 친구들과 소통을 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주시는것도 좋을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사실 친구가 없다는 것도 케이스가 다른 게 본인이 자발적으로 친구가 없는 게 편해서 그런 건지, 아니면 본인이 노력하거나 혹은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어도 없는 건지에 따라 달라요. 물론 어느 쪽이든 친구가 있는 게 건강한 학교 생활에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고학년부터는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개입한다고 친구 관계가 해결되는 건 아닌 터라··· 본인의 마음이 가장 중요하니 본인이 친구 관계나 학교 생활에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이야기를 나눠보심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친구를 만들려면 아이가 적극적인 것도 있어야 하는데 성격이 내성적인가 봅니다

    내성적 아이들은 친구를 쉽게 만들지 못 합니다

    성격이 이상 해서가 아니고 매사에 꼼꼼하고 신중 하기 때문이죠

    그냥 친구 하면 되는데 마음 속으로 내가 다가서면 저 아이가 나와 친구를 해줄까

    안 해주면 어떻게 하지 하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친구 하자고 하고 안 하면 다른 친구를 만들면 되는데 혹시 친구가 거절 할 까봐 하는

    불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을 수 있어요

    조금 있으면 학원 다니고 하면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친구를 만날 수 있을 것 같아요

    너무 걱정 하지 마시고 내 아이를 믿어 보아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 생일이나 이벤트가 있을 때 집으로 친구들을 초대하는 건 어떨까요?

    억지로 라도 부모님이 친구들을 만들어 줘야 합니다.

    그리고 종종 친구들을 데리고 키즈카페나, 보드게임장에도 데리고 가는 것도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친구가 없는 것이 아이의 사회성에 문제가 반드시 있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아이에게 어떻게하면 친구를 사귈 수 있을까에 대해서 이야기를 진지하게 나눠보시고 아이와 함께 부모님께서 함께 친구를 사귀는 법을 역할놀이를 통해서 시뮬레이션을 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아이의 마음은 친구를 사귀고싶은게 굴뚝같으나 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또한 사춘기가 와서 그럴 수도 있으니 대화를 자주 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