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을 싫어하는 아이에게 흥미를 갖게 하려면?
수학을 싫어하는아이에게 흥미를 갖게 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이 적지만 그래도 흥미를 갖게 하고 싶어서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수학은 어른이 되어서도 싫은 과목 입니다.
수학을 싫어하는 아이에게 수학에 대한 재미, 관심, 흥미 이 세 가지의 요소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는
수학의 학습을 놀이 및 게임 형식으로 진행을 해보는 것입니다.
또한 수학을 왜 해야 하는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주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수학에 활용되는 교구는 아이가 좋아하는 스티커, 장난감블럭 및 인형, 사탕, 과자 등도 좋을 것 같구요.
직접 수학교구를 만들어서 아이와 함께 놀이 및 게임을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수학에 흥미를 붙일 수 있도록 하려면, 수학이 일상생활에서 그리고 좋아하는 취미나 관심사에 쓰인다는 것을 알려주고, 본인이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을 수학과 연결을 지어 공부해나갈 수 있도록 독려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수학을 싫어하는 아이에게 흥미를 갖게 하려면 무조건 문제만 풀게 하는 게 아니라,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해요. 먼저, 게임이나 놀이를 활용하는 방법이 효과적이에요. 예를 들어, 아이가 숫자에 거부감이 있다면 "보드게임, 퍼즐, 레고, 카드 게임" 같은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수학 개념을 익히게 하면 좋아요. 또, 실생활과 연결해서 가르치면 훨씬 흥미를 가질 수 있어요. 마트에서 "이거 두 개 사면 얼마일까?", "할인된 가격은 얼마지?" 같은 질문을 던지면서 계산하도록 유도하면 실생활에서 수학이 필요하다는 걸 느끼게 되죠. 그리고 문제를 틀렸을 때 지적하기보다는'이렇게 생각하면 더 쉬워!'라고 함께 고민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면 아이가 수학을 덜 부담스러워해요. 또, 수학적 사고를 키울 수 있는 영상이나 만화, 동화책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건 '수학을 못해도 괜찮아, 조금씩 하면 돼'라는 마음으로 부담 없이 접근하게 해주는 거예요. 수학이 재미없다는 생각이 바뀌면 자연스럽게 실력도 따라오게 된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수학은 본인이 풀 수 있는 문제를 매일 꾸준히 풀면서 실력을 쌓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칭찬과 보상을 통해서 자신감을 심어 주세요.
실력이 향상되면 없던 흥미가 저절로 생기게 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수학을 재미있게 하려면 게임처럼 접근하거나 실생활에서 유용한 수학 문제를 풀어보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