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들의 두 눈이 한쪽으로만 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사람을 비롯하여 눈이 두 개인 동물은 두 눈이 각각 다른 곳을 보지 못하고 한쪽을 같이 보는데요. 카멜레온을 제외하고는 거의 그런 것 같습니다. 왜 그렇게 진화한 걸까요?
두 눈이 앞을 향하고 같은 방향을 볼 때 뇌로 전달되는 이미지가 겹쳐져 입체적으로 보이게 됨으로써 거리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고 사냥을 할 때 매우 중요합니다. 주로 두 눈이 같은 방향을 주시하는 것은 사냥을 하는 포식자 동물에게서 볼 수 있는 특성입니다. 두 눈의 겹치는 시야(FOV)를 통해 얻어지는 시각 정보는 사냥감의 추적에 도움이 됩니다.
제 답변이 밝은큰고니님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한번 부탁드립니다.사람을 포함한 대부분의 두 눈을 가진 동물들이 한 방향을 바라보는 것은 양안시라는 시각 시스템 때문입니다.
양안시는 두 눈으로부터 얻는 영상의 차이를 이용하여 입체적으로 보고, 물체와의 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시스템으로 이는 특히 사냥을 하는 육식 동물에게 중요한 기능으로, 먹이와의 정확한 거리를 측정하고, 사냥 시 매우 정확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해줍니다.
또한, 눈의 위치가 얼굴 앞쪽에 있는 동물들은 겹치는 시야를 통해 입체시를 갖게 되어, 먹이와의 거리를 판단하고 사냥에 유리합니다. 반면, 눈이 얼굴 측면에 있는 동물들은 시야가 넓어져 포식자의 위협을 빠르게 감지하고 피하는 데 유리한 형태로 진화했습니다.
카멜레온과 같은 일부 동물들은 두 눈이 독립적으로 움직여 다른 방향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그들의 생활 환경과 생존 전략에 따라 진화한 결과입니다. 카멜레온은 주변 환경을 넓게 감시하면서도 동시에 사냥감을 정밀하게 포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했기 때문에 이러한 독특한 시각 시스템을 갖게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동물들의 눈 구조와 시각 시스템은 그들의 생태학적 역할과 생존 전략에 따라 다양하게 진화해 왔으며, 이는 각 종의 생존에 가장 유리한 형태로 발전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눈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카멜레온은 굉장히 특별한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동물이 양 눈으로 한 곳을 보는 이유는
양쪽눈의 시야가 겹치는 부분에서 대상과의 거리감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카멜레온도 사냥을 할 때는 거리를 재기위해 양쪽 눈으로 같은 곳을 응시하는데요.
안구가 돌출된 카멜레온과 달리 대다수의 동물은 안구가 두개골 안쪽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눈을 굴리더라도 뒤를 볼 수는 없습니다.
카멜레온은 안구가 다른 동물에 비해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뒤쪽으로 안구를 돌릴 수 있어 사실상 눈을 굴려 360의 범위를 볼 수 있습니다.
많은 동물들은 눈의 가동범위가 한정되어 있습니다.
초식동물의 경우 초점으로 거리를 재는 것 보다 넓은 시야를 보는 것이 중요한데, 그래서 눈이 보통 얼굴의 양 옆에 가깝게 위치합니다. 이러면 겹치는 시야각은 줄어서 거리감을 알 수 있는 시야가 좁아지지만 넓은 범위를 보고 포식동물의 접근 감지하기 쉽습니다.
육식동물은 눈이 얼굴 앞쪽으로 위치하는 경우가 많고, 이는 사냥감과의 거리를 재고 사냥감에 포커스를 맞춰 집중하기 위해서 입니다.
동물들의 두 눈이 한쪽으로만 보는 이유는 시야 범위의 확장과 깊이감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해 진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양쪽 눈이 같은 방향을 향하면 시야가 겹치는 부분이 생겨 입체감과 거리 측정 능력이 높아지며, 주변 상황을 넓은 범위에서 인지할 수 있어 포식자나 위험으로부터 더욱 안전해집니다. 이러한 시각 기능의 향상이 생존과 번식에 유리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동물들이 두 눈을 한쪽으로 향하는 구조로 진화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눈은 두개인데 한곳을 바라보는 이유를 질문주셨는데요, 조금 다르게 생각해서 한곳만 바라보는데 왜 눈이 두개인지를 생각해볼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눈이 두개인 이유는 원근감과 입체감을 식별하기 위해서 입니다. 눈은 구형이라 한곳만 바라보더라도 시야에 충분히 넓은 범위가 들어오게 되어 굳이 다른곳을 바라보는것보다 한곳을 바라보며 두눈으로 원근감과 입체감을 식별하는것이 더 생존에 유리하기때문에 그렇게 진화한것이 아닐까요?
카멜레온의 두 눈은 원뿔 모양으로, 360˚로 자유롭게 돌아가기 때문에 양쪽 눈이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을 볼 수 있다고 하는데요, 따라서 평소에 한쪽 눈은 정면을, 나머지 다른 눈은 사방을 둘러보며 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하지만 인간의 시야 범위는 거의 180도의 전방이기 때문에 눈이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을 보지 못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눈을 가지는 이유는 눈 한쪽 만으로도 사물의 크기, 색상, 생김새등은 가늠할 수 있으나 원근감과 입체감을 위해서는 두 개의 눈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