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3

한글에 존댓말이 있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숙련된개미핥기51입니다. 우리나라는 존댓말이 유독 발달된거 같은데 이렇게 존댓말이 발달한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23.01.23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존대말은 이 한국어 문법의 핵심인 동시에 한국인의 정신과 삶의 방식을 조정하는 근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존대법이 특별히 어렵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영어에는 연세가 어떻게 되세요? 와 당신 나이가 몇 살이에요? 를 구분 하지 못합니다. 똑 같이 How old are you? 라고 하지요. 이렇듯 존대말은 우리나라의 유고 문화와 함께 특별히 발달한 문화이자 특징인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민족은 예의를 중시하였고, 어른을 공경하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에서도 경어를 중요하게 사용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존댓말 사용은 연장자를 존중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인간의 생활이 수렵이였던 때를 생각해봅시다. 힘은 약하지만 오랜 기술과 숙련, 삶의 지혜를 아는 늙은 사람, 연장자는 한마디로 커다란 도서관과도 같았습니다. 연장자를 잃는 것은 생활을 잃는 것과 같았죠. 그래서 연장자, 나이든 사람을 따르며 배우고 또 존경한다는 의미로써 일반적인 말과 구분지어 사용했을 것입니다. 연장자에 대한 존경의 의미로써의 '존댓말'은 지금도 다르지 않습니다. 상대방이 나보다 먼저 살아간 시간에 대한 존경과 시각의 차이를 받아들이고 존중한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우리 앞에 먼저 살았던 사람이 없다면 우린 지금 존재할 수 없습니다.

    존댓말의 경우로 연장자 뿐 아니라 동등한 나이나 어린 사람에게도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는 내가 잘 알지 못하는 사람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로 보시면 됩니다. 낯설고 잘 모르는 사람이라는 말 안에는 '내가 온전히 저 사람의 능력과 됨됨이를 모른다. 저 사람의 무한한 능력과 창조력이 얼마나 잠재해 있는지 모른다' 라는 의미도 포함 된 것입니다. 그리고 나 자신도 언제나 '낯설고 잘 모르는 사람'이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구요. 존댓말은 사람이 사람을 아끼는데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사람과 사람이 서로를 아끼기 위해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