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수려한콰가118
수려한콰가118
23.02.27

곤충을 미래의 비상식량이라 말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곤충은 단백질 덩어리라고는 하지만 키우는 조건과 환경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해당 곤충에게 먹일 특정 식물도 재배해야하는 등 이중적으로 소요될거 같은데 곤충이 미래 비상 식량으로서 실제 활용이 가능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2.27

    안녕하세요. 아하 지식인입니다.

    실제로 곤충은 미래 식량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 곤충은 우수한 단백질 공급원이다.

    식용 곤충의 단백질 함량은 100g당 50~60g으로 소고기의 두 배 이상이다.

    식용 곤충에는 20가지 아미노산이 들어 있고 불포화지방산 함량도 높다.

  • 안녕하세요. 투명한숲제비211입니다.

    1. 영양가가 높음: 곤충은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가 풍부합니다. 예를 들어, 섭취한 100g의 메뚜기는 20g의 단백질을 제공하며, 비타민 B12, 철분, 아연 등의 미량 원소도 함유하고 있습니다.

    2. 환경 친화적: 곤충은 가축과 비교하여 많은 양의 물, 땅, 사료, 비료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온실 가스와 같은 대기오염도 적게 발생합니다.

    3. 생산성이 높음: 곤충은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메뚜기는 매일 최대 900마리의 알을 낳을 수 있으며, 닭은 1일에 1개의 알을 낳습니다.

    4. 대중적 수용성: 곤충은 전 세계적으로 섭취되는 음식으로 이미 일부 지역에서는 일상적으로 섭취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태국에서는 메뚜기와 거미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곤충요리가 인기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철저한달팽이299입니다.

    당연히 단백질 함량이 높고 탄소배출량이 적고 이런 이유도 있겠지만

    제 생각에는 아무래도 역시 키우고 기르기 쉽기 때문이 아닐까요?

    물론 시설이나 관리야 필요하겠지만 다른 산업에 비하면 더 쉽게 생산해낼수있으니 그게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이 드네요

    제거하려고 노력해도 어떻게든 살아남아서 번식하는 곤충.. 그래서 최고인거 같네요

  • 안녕하세요.으캬캭입니다.

    곤충을 미래의 비상식량으로 말하는 이유는 곤충이 식량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곤충은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면서도 식량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곤충의 재배는 생산량이 높고 생산 비용이 낮기 때문에 미래 비상 식량으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케이입니다.

    현재 지구상에 먹이사슬이 깨지고 있고 탄소배출 등 사료값 인상 등등 여러가지 요소가 겹쳐서 단백질을 쉽게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상태입니다. 곤충의 경우 대량번식이 가능하고 빠른시기에 수확이 가능하여 미래의 단백질 식량으로 불리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