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을 미래의 비상식량이라 말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곤충은 단백질 덩어리라고는 하지만 키우는 조건과 환경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해당 곤충에게 먹일 특정 식물도 재배해야하는 등 이중적으로 소요될거 같은데 곤충이 미래 비상 식량으로서 실제 활용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아하 지식인입니다.
실제로 곤충은 미래 식량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 곤충은 우수한 단백질 공급원이다.
식용 곤충의 단백질 함량은 100g당 50~60g으로 소고기의 두 배 이상이다.
식용 곤충에는 20가지 아미노산이 들어 있고 불포화지방산 함량도 높다.
안녕하세요. 투명한숲제비211입니다.
영양가가 높음: 곤충은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가 풍부합니다. 예를 들어, 섭취한 100g의 메뚜기는 20g의 단백질을 제공하며, 비타민 B12, 철분, 아연 등의 미량 원소도 함유하고 있습니다.
환경 친화적: 곤충은 가축과 비교하여 많은 양의 물, 땅, 사료, 비료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온실 가스와 같은 대기오염도 적게 발생합니다.
생산성이 높음: 곤충은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메뚜기는 매일 최대 900마리의 알을 낳을 수 있으며, 닭은 1일에 1개의 알을 낳습니다.
대중적 수용성: 곤충은 전 세계적으로 섭취되는 음식으로 이미 일부 지역에서는 일상적으로 섭취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태국에서는 메뚜기와 거미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곤충요리가 인기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철저한달팽이299입니다.
당연히 단백질 함량이 높고 탄소배출량이 적고 이런 이유도 있겠지만
제 생각에는 아무래도 역시 키우고 기르기 쉽기 때문이 아닐까요?
물론 시설이나 관리야 필요하겠지만 다른 산업에 비하면 더 쉽게 생산해낼수있으니 그게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이 드네요
제거하려고 노력해도 어떻게든 살아남아서 번식하는 곤충.. 그래서 최고인거 같네요
안녕하세요.으캬캭입니다.
곤충을 미래의 비상식량으로 말하는 이유는 곤충이 식량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곤충은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면서도 식량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곤충의 재배는 생산량이 높고 생산 비용이 낮기 때문에 미래 비상 식량으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케이입니다.
현재 지구상에 먹이사슬이 깨지고 있고 탄소배출 등 사료값 인상 등등 여러가지 요소가 겹쳐서 단백질을 쉽게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상태입니다. 곤충의 경우 대량번식이 가능하고 빠른시기에 수확이 가능하여 미래의 단백질 식량으로 불리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