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운좋은천인조117
운좋은천인조11723.02.24

지구는 왜 24시간 자전하고 있나요

지구는 돌고 있고 계속 돌고 있다고 알고있는데

왜 돌고 있는더죠? 무엇때문에

만약 안돌게 되면 어떤일이 생기나요??

그리고 왜 우리는 도는걸 못느끼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5

    구가 도는 이유는 지구를 둘러싼 대기권과 같은 물체가 지구의 자전을 막지 않고, 공기 저항이나 마찰력 등의 영향이 적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태를 이동관성이라고 합니다. 또한, 지구에는 자기장이 존재하여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태양풍 등의 입자들을 막아 지구의 자전속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만약 지구가 멈춘다면 지구를 둘러싼 대기권과 같은 물체들이 이동관성을 유지하므로 지구의 대기권은 계속해서 돌아갈 것입니다. 이에 따라, 대기권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 발생하는 온도차이가 심화되어 대기층이 붕괴될 수 있으며, 지구의 기후 등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또한, 지구의 자전이 멈춘다면, 하루에 대한 시간 개념이 사라져 낮과 밤이 없어질 것입니다.

    우리가 지구의 도는 것을 못느끼는 이유는 우리가 지구 위에 서있는 것이 아니라, 지구 위에서 함께 돌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전 속도는 매 시간 약 1,670 km/h로 매우 빠르지만,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권과 같은 물체들도 같은 속도로 돌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도는 것을 못느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돌아가는 이유는 지구의 질량과 태양의 중력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만유인력 때문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중력이 지구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지구는 계속해서 돌아가고 있습니다. 만약 지구가 돌아가지 않는다면, 지구를 둘러싼 대기와 끓어오르는 마그마, 그리고 해수면 등이 항성이 아닌 적외선 방출 등으로 인한 공간의 온도에 영향을 받게 되어, 극심한 온도 변화와 지구 환경 변화가 발생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도는 이유는 지구의 초기 형태인 구체적인 모양에서 축이 자전하면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지구의 축은 지구의 중심에서 북쪽으로 향하고 있으며, 이 축 주위를 지구가 일정한 속도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인해 지구는 하루가 지날 때마다 자신의 축 주위를 한 바퀴 돌아 일어나는 하루 동안의 시간이 결정됩니다.

    지구가 돌지 않는다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것입니다. 가장 먼저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은 낮과 밤이 없어지는 것입니다. 지구의 일부가 항상 태양 쪽을 향하면서 끊임없이 발생하는 회전으로 인해 낮과 밤이 생겨나는 것인데, 지구가 돌지 않는다면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됩니다. 또한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계절 변화도 발생하는데, 이 또한 지구가 돌지 않는다면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지구가 도는 것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지구의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지구의 대기권도 지구와 함께 회전하며, 지구와 함께 우주를 돌고 있기 때문에 지구가 돌아가는 것을 직접적으로 느끼지 못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자전하는 이유는 지구 내부의 액체 상태의 외부핵, 고체 상태의 내부핵, 지각의 덩어리들, 대기 등이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회전 운동은 지구 내부의 질량 분포가 비균일하고, 지각의 공기 마찰력, 조석과 각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유지됩니다.


    만약 지구의 자전이 멈추면, 지구의 자전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하루 길이의 변화입니다. 현재 지구는 하루가 대략 24시간인데, 자전이 멈춘다면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하루 길이가 길어지게 됩니다. 그 결과로 하루가 대략 365일보다 짧아지며, 일출과 일몰 시간, 계절 등이 크게 변화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국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돌고 있고 계속 돌고 있다고 알고있는데

    왜 돌고 있는더죠? 무엇때문에

    만약 안돌게 되면 어떤일이 생기나요??

    그리고 왜 우리는 도는걸 못느끼나요

    지구의 탄생과 공전 자전 등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그중 하나입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46억 년 전 초기 지구는 가스와 먼지가 서로 엉겨 붙어 형성된 직경 1km 정도의 미행성으로 중력이 강하여 다른 물질들을 흡수하고 원시행성으로 커진 후에 성장한 원시행성의 중력은 점점 더 강력해져 주변에 있는 우주의 바위 등을 계속 흡수하는데 이과정중 충돌이 일어나면서

    가속도가 붙어 자전속도가 빠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우주바위들이 지구에 더 큰 충격을 줄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지구의 공전입니다. 지구가 태양을 도는 속도가 있기 때문에 그 충격이 더 컷었던 것이고 자전속도에 영향을 주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지구가 빠른 속도로 움직이고 있음에도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우리가 이미 시속1600km로 동쪽으로 자전되는 원심력의 영향보다는지구가 끌어당기는 강력한 중력에 동기화 된 상태에서 생태계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느낄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반대로 자전이 갑자기 멈춘다면 , 엄청빠른 차를 타고 가다가 갑자기 충돌하면 , 멈추면 일어나는 상황으로 생각해봅시다.

    지구는 시속1600km로 동쪽으로 자전하며 대기도 같은 속도로 움직입니다. 그런데 지구의 자전이 멈추게 되면 대기는 여전히 시속 1600km속도로 움직여 강렬한 바람이 휘몰아치듯 모든 것을 날려버릴 것입니다.

    아주 안전한 지하에 있지 않는 이상 자동차, 나무, 건물 및 동물 등 모든 것이 바람의 영향과 관성의 법칙으로 날아가 버리며, 지표면에 단단히 고정된 바위와 같이 날아가지 않는 것들도 바람과 잔해의 강력한 폭발로 초토화 될 것입니다.

    또한 자전으로 인한 낮과 밤이 1일로 이루어지는 것이 사라지며, 반대로 6개월은 밤, 6개월은 낮이 될 것입니다.

    지속된 어둠으로 영하의 영역에서 6개월의 밤을 지내며, 태양빛의 지속으로 6개월간 엄청난 열대야에 시달릴것입니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몇백배 규모의 장마 태풍 가뭄 폭설에 시달리게 되어 인류가 적응하여 살아남기 힘들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24시간 자전하는 이유는 지구의 고유한 물리적 특성에 기인합니다. 지구는 약 4,550만 년 전 태양계 형성 초기에 태양으로부터 생성된 먼지와 기체가 충돌하여 탄생했으며, 이때부터 지구는 일정한 속도로 스스로 주축 주위를 회전하면서 일정한 주기로 하루 밤을 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용찬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진것은 없으나 지구가 생성될 당시 우주 바위들이 지구와 흡수되는 과정에서 지구와 충돌하게 됐고 이로 인해 많은 힘이 가해지고, 그 힘에 의해 가속도가 붙어 지금처럼 빠른 속도로 자전을 하게 됐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이것은 설입니다만 정확하진 않은것 같습니다.

    원시 지구가 공전을 하게 되고 수많은 파편이 지구와 충돌하면서 점점 그 힘이 세어져서 돌게 되었다는 이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