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중국 반도체 업체인 CXMT의 글로벌 위상은 어느 정도 인가요?

미국과 중국의 기술 전쟁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는데요

미국은 주요 반도체를 중국에 수출하는 것을

강력히 규제하도 있어 중국 자체 기술력이 발전한다는 견해가 있던데요

중국 대표 반도체 업체인 CXMT의 매출 규모나 글로벌 순위는 어느 정도 인가요?

기술력은 세계탑 수준으로 올라 왔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CXMT는 중국의 대표적인 DRAM 전문 기업으로 중국 정부의 막대한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아직 삼성, SK하이닉스 보다는 기술력은 뒤처지지만 장기적으로 글로벌 시장을 위협할 잠재력은 크다고 봅니다.

    특히 미국의 수출 규제 완화여부가 향후 성장에 중요한 변수 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음, 최근 CXMT는 굉장히 빠르게 커지고 있는데요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이 2024년 5% 수준에서 2025년엔 7% 정도이고, 2027년이면 10%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기술력 면에서는 아직 삼성SK 하이닉스와 비교하면 3년 정도 뒤처진 수준이고, DDR5도 칩 크기가 더 크고 수율이 낮아 비용 경쟁력이 낮은 모습입니다 . HBM 같은 고부가 제품은 개발은 시작했지만 아직 초기 단계며 최신 HBM3, HBM3E는 따라가려면 시간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 CXMT는 규모와 정부지원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 중이나 기술 격차는 아직 존재하고, 본격적으로 글로벌 메모리 시장을 흔들 중요한 플레이어가 될 가능성은 크지만 아직 세계 탑 수준은 아닌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창신 메모리의 글로벌 위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창신 메모리 (CXMT) 는 중국의 반도체 기업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함께 빅3에 오를 정도로

    글로벌 위상이 상당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 CXMT는 글로벌 반도체 매출 순위에서 10위권 안에 진입한 것으로 추정되며 메모리 반도체 부문에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글로벌 선도 기업들과는 아직 기술격차는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중국 정부의 대대적인 지원을 등에 업고 빠르게 기술력을 발전 시키고 있어 기술력은 개선 추세에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CXMT와 같은 경우에는 디램에 있어서

    현재 삼성이나 하이닉스 등을 추격하고 있고

    2027년 점유율이 10% 정도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cxmt라고 하는 곳은 d램의 반도체를 개발하는 곳으로 설계와 함께 파운드리를 함꼐 운영하는 곳이라고볼 수 있습니다. 이는 중국에서 자체적으로 전략적으로 기업을 육성시킨 곳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반도체 업계에서 시장점유율은 낮지만 약 2%정도, 그래도 전세계에서 반도체 관련 순위는 4위권에 든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력은 있지만, 시장의 점유율을 높이기위해서는 전략적인 선택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CXMT는 중국 대표 D램 제조사입니다.

    불과 5년전까지만 해도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점유율이라는 개념도 없던 회사였으나 현재는 글로벌 시장 10%이상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BM 제품도 점차 새로 개발되고 있어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와 경쟁할 수준까지 왔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저가 공세로 만약 기술적으로 검증이 된다면 큰 위협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의 창신메모리는 중국업체중에서 메모리업계내에서 1등기업입니다 현재 삼성전자가 점유율로 치자면 1등 하이닉스가 2등 마이크론이 3등입니다 그리고 4위 업체가 바로 창신메모리이며 현재 글로범점유율 6%가 넘어서며 추격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범용메모리 부문에서 그전 세대인 DDR4분야에서 그리고 16나노이하의 공정기술에서 빠르게 추격을 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시면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레거시 D램을 위주로 생산하는 CXMT의 매출 점유율은 5%지만 실제 영향력은 그 이상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점유율을 늘려가고 있고, 기술력 또한 나쁘지 않은 편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