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23.11.27

화가 많은 아이와 대화시 훈육방법알려주세요

아이가 초등학교 1학년이고 여자입니다. 아이가 말을 잘하는데 감정적으로 대화를 잘하며

목소리도 큽니다. 아이가 짜증을 많이 내면서 화내는 말투인데 어떻게 교육하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초등학교 1학년 아이이면 아직 많이 어린 나이입니다.

    아이가 화룰 낼때는 당황하지 마시고 아이를 진정시키는 말로 마음을 가라 앉혀 주셔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27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만약에 다른 사람이 ㅁㅁ에게 짜증을 내면 기분이 어때? ㅁㅁ가 짜증을 내면서 말을 하니까 기분이 좋지 않아'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화내지 않고 말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화가 나고 짜증을 내는 것보다는

    부드럽고 사랑스러운 말투를 사용하도록

    게속 지도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말투로 인하여 다른 사람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에 말투를

    어느정도 바꾸야 한다고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짜증이잦다면

    집에서 어떤환경에처하고자주접하는지보시는것이좋습니다

    평소 주양육자의짜증이나 다른곳에서짜증을 많이접한다면

    아이는상황해결이나문제시 짜증부터내는것을배우고사용할수밖에없기에

    이런것을 자주접하지않고짜증내지않게해결하게하면좋을겁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짜증내거나 화내는 이유가 있을거예요. 아이가 차분해질때까지 기다려주시고 아이의 마음을 먼저 공감해주세요. 그리고 경청하는게 순서입니다. 부모가 같이 감정적으로 화를 내면 아이는 대화를 하려고 하지 않으니 감정을 가라앉히고 아이의 말에 귀담아 들어주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관련 인성동화를 함께 읽어주시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는 아직 감정 조절에 미숙하여 화내는 말투 표현 조절이 힘들 수 있습니다.

    화를 내거나 짜증내는 것은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견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다는 것을 알려주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화가나거나 짜증이 날 때에는 심호흡을 하여 마음을 가라앉히고 진정이 된 후에

    이야기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화가 많은 아이는 자신이 인정받지 못한다고 생각하거나 무시당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를 존중해주시고 화가나는 이유를 들어주세요 .그리고 아이의 공감해주시고 화가날때 지혜롭게 화를 대처하는법은 지도해주시면 됩니다. 친구와의 마찰에서.. 내가 놀고있는데 네가 나의 블럭을 말없이 가져가서 내가 화가나! 다음부터는 빌려달라고 말해줬으면 좋겠어! 처럼 본인의 의사를 소리지르거나 던지는 행동이아닌 자신의 말로서 전달하는법을 법을 가르쳐 주시면 됩니다. 아이의 이런행동들이 조금씩 좋아지는것을 발견했다면 칭찬을 아낌없이 해주시고 더 잘할수 있도록 독려해주세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아이가 어떤 경우에 화가 나는지 확인하여 주세요. 만약 이유없이 습관처럼 화를 낸다면 그것이 잘못됨을 정확히 알려주시고 함께 대화하고 감정 표현을 도와주는 표현 방법을 가르쳐주세요.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명확하게 말하고 본인 마음속의 이야기를 꺼내는 연습을 하도록 해보세요. 편안한 환경에서 꾸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평소에 부모님이 아이 앞에서 큰 소리로 말을 하고 있지 않는지 양육 방법에 대해서 점검을 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항상 아이에게 말을 할 땐 차분하고, 조용한 목소리로 말을 하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할때 기다려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진정될떄까지 기다려주시는것이 좋으며

    이후 진정된다면 천천히 말하는연습을 해주시며 평소에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활동을 해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짜증을 잘 낸다면 짜증을 내는 그 즉시 단호하게 짜증을 내면 안돼 라고 말을 해주시면서 왜 짜증을 내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정확하게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자 할 때에는 짜증을 내는 것이 아니라 바르고 고운 말로 조곤조곤 부드럽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임을 인지시켜 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화가 나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표현하는 방법은 스스로 감정의 표현을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 같아요

    화가 났을 때 어떻게 표현을 해야 하는지 바른 언어 교정을 시켜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