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에 쓰이는 계이름은 언제완성되었나요?
피아노 학원가면 배우는 계이름 높은음자리표 낮은음자리표는 언제부터 시작되었고 언제 완성되었나요?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음악에서 사용되는 계이름은 서양 음악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온 것입니다. 계이름의 개념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변천 과정은 다소 복잡합니다. 다음은 계이름의 주요 발전과정에 대한 개관입니다.
중세 음악: 중세 시대에는 음악이 서악적인 형태로 발전하였고, 초기에는 계이름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단일 음자리표를 사용하여 음의 상승과 하강을 표시했습니다.
루네브르크 표기법: 14세기에는 루네브르크 표기법이 등장하였습니다. 이 방식은 현재의 다자리표(높은음자리표와 낮은음자리표)에 가까운 형태로 음을 표기하였습니다. 그러나 계이름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이탈리아 표기법: 16세기에 이탈리아에서는 음을 높이나 낮이에 따라 알파벳 문자로 표기하는 이탈리아 표기법이 등장했습니다. 이는 음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 "a"부터 "g"까지의 문자를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계이름에 가까운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17세기 이후: 17세기에는 음악 이론과 표기법이 발전하면서 계이름이 보다 일반화되었습니다. 높은음자리표와 낮은음자리표가 표준화되었으며,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등의 계이름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현재의 음악 표기법에서도 계속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아노 학원에서 배우는 계이름의 사용은 서양 음악의 발전과정을 따라가며 발전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계이름의 사용은 오랜 역사와 변천 과정을 거쳐서 현재의 형태에 이르렀으며, 음악의 표기와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정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1세기 무렵 이탈리아의 귀도 다레쪼가 음계에 계 이름을 붙여 부르는 법을 고안했고, 이것이 오늘날 쓰고 있는 도레미의 계이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