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겨울조아
겨울조아24.03.18

미국 금리인하가 지지부진한 이유?

지난주 발표된 cpi와 ppi지표를 기준으로 미국의 금리인하가 점점 늦춰진다거나 인하폭이 대폭 줄어들 수가 있다고 하는데 이는 왜 그런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현재 미국이 금리인하를 하기 위한 조건 중 하나인 물가상승률이 잡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금리인하 시점이 예상보다 더 늦어질 수 있다고 보입니다

    • 금리는 반드시 인하할 것인데 시기다 점점 늦춰져 하반기까지 예상이 밀리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소비자물가 지수를 잡기위해서 현재

    금리를 높여 왔습니다. 그런데 3퍼센트 초반까지

    왔던 물가지수가 더 오를 기미가 보이니 쉽사리 내리지 못하는 것입니다. 확실히 소비자물가지수가 떨어진다는 확신이 들때 금리인하를 단행할 것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아요! 공감버튼

    부탁드릴게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물가가 예상외로 시장의 예쌍치를 상회하며

    이에 따라서 금리인하 시점이 뒤로 미뤄진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물가 상승률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 지표들이 낮게 나오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낮으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하하여 경기부양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미국의 경제는 경기가 완만하게 성장하고 있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게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인하하는 속도와 폭을 조정하는 것은 경기 상황을 고려한 조치일 수 있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낮아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면, Fed가 금리를 대폭 낮추는 것보다는 완만하게 조정하는 것이 경제에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