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가 내연기관차 금지 완화 검토한다는데 자동차 무역 영향 클까요?
2035년부터 내연기관차 금지한다고 해놓고 이제 와서 완화라니 좀 황당하네요. 전기차 업체들은 그동안 투자 다 해놨는데 손해 보는 거 아닌가요. 우리나라 자동차 무역에도 영향이 꽤 있을 것 같은데 혹시 아시는 분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EU가 내연기관차 금지 정책을 완화하게 되면 자동차 무역 질서가 다시 흔들릴 가능성이 큽니다. 전기차 전환을 전제로 투자한 기업들은 회수 기간이 늘어나 손실 우려가 생기고, 반대로 하이브리드나 내연기관 중심 기업은 숨통이 트일 수 있습니다. 한국 기업은 유럽 시장 수출 전략을 전기차로 몰아가던 계획을 일부 조정할 필요가 있고, 부품사들도 배터리 위주에서 다시 엔진변속기 라인 유지 압박이 커질 수 있습니다. 투자 리스크와 무역 불확실성이 겹쳐 단기적으로 혼란이 불가피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논란은 있으나 테슬라를 제외한 대부분의 자동차 메이커들은 모든 종류의 차종을 만들기에 이에 대하여 큰 손실은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현재 전기차는 테슬라가 독보적으로 인기가 많기에 이러한 부분을 따라잡을 수 있는 시간을 벌었다고도 인지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규제라는 게 워낙 정치적 변수에 따라 흔들리다 보니 업계에서는 예측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EU가 2035년 내연기관차 금지를 완화한다는 건 전기차 전환 속도가 생각보다 더디고 산업 기반이 준비가 덜 됐다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자동차 무역 쪽에서는 양면이 있습니다. 내연기관차 수출을 많이 하는 입장에서는 숨통이 트일 수 있지만 이미 전기차와 배터리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온 기업들 입장에서는 계획이 꼬일 수 있습니다. 관세나 통상 규제 자체가 바뀌는 건 아니지만 유럽 수요 패턴이 변하면 우리 수출 전략도 재조정이 필요해지는 거라 쉽게 넘어갈 사안은 아닌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