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그만좀합시다
그만좀합시다23.09.21

일본이 진주만공습을단행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일본이 미국이 있던 진주만을 급습해서 공격했고 이 일로 미국이 전쟁에 직접 개입하는 원인이되었는데 전투가아닌 전쟁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일본이 이처럼 무모한 공격을 감행한 이유가 무엇이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21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진주만을 공습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일전쟁으로 대표되는 일본 제국의 과격한 군사적 행동에 대해 미국은 일본 제국을 대상으로 한 경제제재로 석유 금수 조치와 철강 수출 제한 조치를 시행했으며, 이와 같은 미국의 일본 제재는 진주만 공습의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다고 합니다.

    궁지에 몰린 일본의 타개책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 일본이 중일전쟁을 시작하고 2차 대전을 거치면서 물자가 떨어지기 시작하는데 미국이 석유 수출마저 금지시키자, 일본은 물자를 얻기위해 동남아 국가들을 침략하고, 진주만 공습하게 되었던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평양전쟁으로 일본 제국은 미국과의 전쟁을 결정하게 되는데 전쟁을 시작할 방법을 두고 연합함대 총사령관 야마모토 이소로쿠가 전쟁계획을 제안합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그나마 현실적으로 미국과 싸울 방법으로 하와이 진주만을 기습해 이곳에 기지를 둔 태평양 최강의 함대인 미국 태평양 함대를 전멸 또는 최소한 괴멸 직전 상태로 몰아가는 것이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미국이 힘을 회복하는 동안 일본에게 없는 석유를 얻을 수 있는 동남아시아를 점령, 섬들을 전부 요새화해 미국의 공세 의지를 꺾고, 가능하면 더 이상의 결전 없이 평화협상을 성사시키는 것, 아니면 태평양을 종심이 깊은 전장으로 삼아 미국의 공세전력을 소모시켜 최종 결전에서 그들을 격멸하고 평화협상을 성사시키고자 했습니다.

    미국와 일본의 전면전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었고 미국은 유럽 전선의 상황이 정리되는 대로 곧 태평양 전선으로 모든 여력들을 돌릴 생각이었으며 일본의 점령지는 절대로 그대로 놔둘 생각이 없었습니다. 그 목적의 달성을 위한 태평양 함대의 건조도 잘 진행되어가고 있는 상황이므로 일본의 입장에서는 어느 쪽의 승리로 끝나든 유럽 전선이 결판나기 전 미국과의 전쟁을 시작한 뒤 적절히 협상해 끝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중국과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이기며 동남아 지역까지 모두 흡수하려고하자 미국이 일본의 이와같은 제국적 팽창에 위기감을 느껴 일본으로가는 모든 석유수출을 제한했습니다. 석유를 수입하지 못하게 되자 궁지에 몰린 일본은 미국에 고개를 숙이거나 미국을 공격하거나 두가지의 선택지중 하나를 선택해야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이 미국을 방어 하고 잇는 동안 유럽은 독일이 영국과 프랑스를 제압 할것이라고 일본은 믿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미국의 진주만을 먼저 공격 해서 미국에게 조약을 이끌어 내고 미국이 2차 대전에 참가 하지 않을 것을 약속 받아 놓으려고 했지만 이것은 일본의 오판 이였습니다. 이 사건으로 미국이 2차 대전에 참전 하게된 결정적 명분을 주게 만들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인도차이나반도를 점령하여 안정적인 원유를 공급받고자 했으나 미국의 석유금수조치로 뜻을 이루지 못하자 일본은 선전포고도 없이 미국의 진주만을 급습하여 태평양함대를 무력화시키려 했습니다. 450여대의 항공기를 실은 항공모함 6대로 하와이 근해에 근접해 진주만을 공격하였고 그 결과 정박해 있던 7척의 항공모함 중 5척이 격침되고 항공기 200대가 파괴되었으며 2000여명 이상이 사망했습니다. 이처럼 미군 해군력을 격파한 일본은 싱가포르 필리핀 인도네시아를 손쉽게 점령합니다. 이를 계기로 미국은 중립을 깨고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게 되었으며 태평양전쟁은 확산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