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사업자등록 어느쪽으로 해야할까요?
전자상거래사업자등록증을 받으려고합니다.
남편은 프리랜서로 건강,연금을 내고있으며 3.3프로 세금을 떼고있는 상황이며, 저는 직장가입자로 월급은 최저임금에서 조금 더 받고있습니다.
사업자등록증 발급시 남편명의로 하는것과 제명의로하는것과 어느쪽이 세금과 4대보험이 더 유리한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직원이 없는 사업자등록일 경우, 직장 4대보험 가입자는 기존처럼 회사에서만 4대보험을 납부합니다. 남편분은 현재 지역가입자이시므로 사업자등록을 통해 사업소득이 발생한다면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가 증가될 수 있습니다.
또한, 종합소득세 신고는 해당 사업장 소득을 합산해서 신고하는 것이므로 두 분 중 그나마 소득이 적은 분 명의로 등록하는 것이 종합소득세를 절세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영혁세무사입니다.
두 분 다 소득세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고, 추가로 발생하는 소득 역시 그 소득에 합산하여 신고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두 소득의 금액에 따라 달라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백승호 세무사입니다.
프리랜서의 경우 지역가입자에 해당하며 근로자의 직장가입자에 해당합니다. 직장가입자의 경우 보수 외 소득이 2000만원을 넘을 경우 초과분에 대해 추가 건보료가 부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