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뽀로로
뽀로로23.04.04

경기종합지수와 경기동향지수는 어떤 걸 의미하나요?

경제 용어 중 경기종합지수와 경기동향지수는 어떤 걸 의미하는지 궁금합니다.

각각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지 두가지 지수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종합지수와 경기동향지수는 모두 경제 상황을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경기종합지수는 경제 전반의 상황을 나타내는 지수로, 국내의 산업생산, 소비자물가지수, 수출입 등 여러 가지 경제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출됩니다. 경기종합지수는 경제 전반의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정책 결정에 활용됩니다.

    반면, 경기동향지수는 경제 상황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수로, 일정한 기간 동안의 경제지표의 상승 또는 하락을 측정합니다. 경기동향지수는 경제 전반의 상황을 나타내는 경기종합지수보다는 특정한 시기나 분기의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 데 더 유용합니다.

    두 지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측정 대상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경기종합지수는 경제 전반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경기동향지수는 일정 기간 동안의 경제 상황의 변화를 측정합니다. 또한, 경기종합지수는 정책 결정에 활용되는 반면, 경기동향지수는 투자 결정 등에 활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종합지수와 경기동향지수는 경제의 현재 상황과 미래 전망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수입니다. 경기종합지수는 경제의 생산, 소비, 수출입, 투자 등 여러 가지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출되는 지수로,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경기종합지수는 경제가 성장하는 지, 위기에 처해 있는 지 등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 경기동향지수는 경제의 현재 상황과 미래 전망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수로, 특정 시점의 경기종합지수를 기반으로 미래의 경기 전망을 예측하는 지표입니다. 경기동향지수는 경제가 회복하고 있는 지, 불황에 접어들고 있는 지 등 경제의 현재 상황과 미래 전망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즉, 경기종합지수는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고, 경기동향지수는 경제의 현재 상황과 미래 전망을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두 지수는 모두 경제의 상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경기동향지수는 더욱 민감한 지표로, 경제의 변화를 더 빠르게 반영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경기종합지수와 경기동향지수는 모두 경제 활동의 변화를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각각의 지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경기종합지수 (Composite Index of Coincident Indicators): 경기종합지수는 경제 활동의 현재 상황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주요한 경제지표들 중에서 일자리 수, 소비, 생산 등과 같은 경기 변동과 직결된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일자리 수가 증가하고, 소비가 증가하며, 생산도 증가하는 경우 경기종합지수가 상승할 것입니다. 경기종합지수는 경제 활동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2. 경기동향지수 (Index of Leading Indicators): 경기동향지수는 경제 활동의 미래를 예측하는 지수입니다. 경기동향지수는 주로 경제 성장과 연관된 지표들 중에서, 일자리 수, 소비, 생산 등과 같은 경기 변동과 직결된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경기동향지수가 상승한다면, 경제 성장이 예상되는 것입니다. 경기동향지수는 경제 활동의 미래를 예측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이러한 두 지수의 가장 큰 차이점은 경제 활동의 현재 상황을 나타내는가, 아니면 미래를 예측하는가 입니다. 경기종합지수는 경제 활동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며, 경기동향지수는 경제 활동의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동향지수란 복잡한 경제활동 전체를 경기로서 파악하기 위하여

    제품, 자금, 노동 등에 관한 많은 통계를 정리하고 통합하여 작성한 지수입니다.

    경기종합지수는 주요 경제지표의 움직임을 지수화 한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종합지수와 경기동향지수는 모두 경제활동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는 지표입니다. 그러나 둘은 조금씩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경기종합지수는 일반적으로 증권시장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증시 전반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대표적인 경기종합지수로는 KOSPI, S&P 500, 나스닥 등이 있습니다. 경기종합지수는 일반적으로 기업 실적, 경제지표, 정치·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영향을 받아 지속적으로 변동합니다.

    반면에 경기동향지수는 경제활동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경제지표를 중심으로 산출됩니다. 예를 들어, 경제활동의 지표인 GDP, 소비자물가지수(CPI), 생산자물가지수(PPI), 실업률 등을 활용하여 산출됩니다. 이 지표는 경제 활동의 경향성과 현재의 경제상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즉, 경기종합지수는 증시 전반적인 상황을, 경기동향지수는 경제활동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두 지표 모두 경제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종합지수라는 것은 국민경제 전체의 경기동향을 쉽게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주요 경제지표의 움직임을 가공 및 종합하여서 지수형태로 나타낸 것을 말하는데, 경기종합지수는 선행종합지수, 동행종합지수, 후행종합지수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경기동향지수라는 것은 경기종합지수의 하나로서, 경기가 변화하게 되는 변동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경기동향지표를 통해서 정부, 기업들은 향후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경기동향지수는 제품, 노동등에 대한 통계를 정리해서 작성하여 지표를 만들게 됩니다.

    경기동향지수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는 것은 경기의 '방향성전환'인데 보통 경기동향지수가 50% 선을 위에서 아래로 넘어서는 시점을 경기의 정점으로 판단하게 되며, 50% 이하인 경우에는 경기후퇴라고 판단하게 됩니다. 그리고 50%를 아래에서 위로 넘어가는 상황을 경기가 침체기에서 상승기로 전환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종합지수와 경기동향지수는 둘 다 경제의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는 지표입니다. 하지만 두 지수는 서로 다른 개념과 측정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경기종합지수는 경제의 성장률, 생산량, 수출입 등 다양한 경제지표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즉, 전반적인 경제적인 상황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주로 국가 전체의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반면에 경기동향지수는 경제활동이 일어나는 산업별로 생산, 판매, 고용 등과 같은 지표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경기동향지수는 산업별 경제동향을 파악하는 지표로, 특정 산업의 경기 전망 등을 분석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경기종합지수는 전반적인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 지표이고, 경기동향지수는 특정 산업의 경기 전망을 파악하는 지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