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소탈한하늘소43
소탈한하늘소43

공기와 수증기의 질량의 차이는 얼마나 되는가요?

공기와 수증기의 질량의 차이는 얼마나되는가요? 그리고 공기가 1일때, 수증기의 질량은 얼마나되는것인가요? 그리고 공기중에 수증기는 공기와 섞여서 있는것인가요? 아니면 단독적으로 수증기만 존재하는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증기는 말 그대로 공기에 미세한 물방울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포화수증기가 그런것이죠

    따라서..같은 면적(부피)내에서는 공기는 중량이 없지만 수증기는 수분(물)을 포함하고 있으니 조금 더 무겁겠죠?^^

    구름은 이런 수증기가 많이 모여서 형성되구요...그 속 수분 알갱이들이 많이 모이게 되면 비로소 무거워서 지상으로 '비'가 되어 떨어집니다.

    이렇게 이해하시면 되겠죠?^^

    얼마나 무겁냐는 것은 공기중에 수증이가 얼마나 포함되었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란 산소와 질소와 수증기 등이 섞인 기체입니다. 그리고 공기는 유동적이기 때문에 장소마다 시간마다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의 비율이 달라지게 됩니다. 이를 수치화 한것을 습도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 습도는 강가나 해안가일 수록 높고 겨울보다는 여름에 높아집니다

    결론적으로 공기 중 수증기의 질량은 상황마다 다르기에 답변할 수 없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