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누리함
누리함23.04.24

조선의 과거제 자격과 문과, 무과, 잡과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조선의 과거제 자격과 문과, 무과, 잡과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그리고 별시 종류와 특별채용인 취재, 천거에 대해서도 알고 싶습니다.

공노비, 장인, 상인에게도 하급 기술관을 부여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科擧: 시험 종류인 과목(科目)에 따라 거용(擧用)한다는 뜻


    - 중국 수나라 시대 때부터 시작

    - 신라시대에 전래되어 958년(고려 광종 9년)에 본격적으로 시행

    - 1894년 갑오개혁 때 폐지


    1. 문과

    (1) 소과(小科): 15세 이상인 자가 응시, 합격하면 성균관 입학자격을 주고 하급관리로 채용. 초시와 복시 두 단계로 실시

    - 생원시(경학시험): 사서의(四書疑) 1편과 오경의(五經義) 1편. 유교 경전에 대해 묻는 시험

    - 진사시(사장시험): 부(賦) 1편, 고시(古詩) · 명(銘) · 잠(箴) 중 1편. 시와 산문 등 문장력, 당시의 정책에 대해 논술하는 시험

    ※관리 임용과 직결되는 제도가 아니었다. 합격한 후 성균관에 들어가 공부하다가 문과에 합격하여 관직에 오르는 것이 정상적인 길이었다.

    ※생원과 진사만 되더라도 면역(免役) 특권이 주어져 사회적으로 일정한 예우를 받을 수 있었다.

    (2) 대과(大科): 성균관 출신과 소과 합격생이 응시, 고급 관리로 채용

    - 1단계 초시: 한성시(서울에서 실시), 관시(성균관에서 실시), 향시(각 도별로 지방에서 실시)

    - 2단계 복시: 초시 합격자를 대상으로 이듬해 봄에 서울에서 실시

    - 3단계 전시(어전시): 복시 합격자를 대상으로 궁정에서 실시

    ※2단계만 합격하면 관직에 진출하는 것이었고, 3단계는 단지 등수를 정하는 것이었다. 보통 복시를 통과하면 급제했다고 하며, 전시 최고점자를 장원이라 불렀다. 초시에 합격한 후 복시에 응시할 수 있는 기회는 한 차례만 주어졌다.

    ※시험 시기는 일반적으로 식년시(式年試)라 하여 3년에 한 번(자, 묘, 오, 유 - 복시를 기준으로 하고, 초시는 그 전년도에 실시)씩 실시했으나, 조선 후기로 갈수록 특별 시험(별시)이 늘어 과거 급제자가 증가했다.


    2. 무과

    - 문과와 함께 실시

    - 초시, 복시, 전시를 거치는 삼장제(三場制)로 운영

    - 시험과목은 강서(講書)와 무예(武藝)


    3. 잡과: 역과 · 의과 · 음양과 · 율과

    - 식년시와 증광시에만 실시

    - 대 · 소과의 구별이 없는 단일과

    - 초시 · 복시 2단계만 있고 전시는 없음


    ※조선은 문반과 무반의 양반(兩班) 관료 체제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