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 알긴산 함유량....! , ...
김의 알긴산 함유량 궁금합니다.
그리고 김에 알긴산 성분이 소량들어있는지
풍부하게 들어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알긴산이 위건강 에 좋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김 100g 기준 알긴산 함유량은 약 0.5~1.5g 정도로 다시마보다는 적습니다. 알긴산은 위 점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소화 지연 및 식후 포만감을 증가하여 혈당 상승 억제에 일정 부분 도움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김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점이 있으신 것 같네요. 김에는 알긴산이라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알긴산은 주로 해조류에 존재하는데, 김도 해조류의 한 종류로, 알긴산을 함유하고 있죠. 그러나 일반적으로 김은 미역이나 다시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알긴산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김에 있는 알긴산은 여전히 유익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제 알긴산이 위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알긴산은 위장관에서 젤 형태의 막을 형성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위벽을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건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위산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환경에서 유익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각의 몸 상태와 건강 상태에 따라 그 효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이 섭취하는 식이량과 함께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김에는 알긴산이 소량 함유되어 있지만, 미역이나 다시마 같은 갈조류에 비해서는 함량이 적은 편입니다. 알긴산은 갈조류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김도 해조류이긴 하나 주로 홍조류에 속해 있어서 알긴산보다 다른 식이섬유나 미네랄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어요. 따라서 알긴산을 주된 목적으로 김을 섭취하기엔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알긴산은 장내에서 수분을 흡수해 겔 형태로 변하면서 위벽을 보호하고 위산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이로 인해 위 점막 보호나 위산 역류 방지, 변비 개선 등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위 건강과 장 건강 모두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죠
하지만 알긴산의 충분한 섭취를 원하신다면 김보다는 다시마나 미역과 같은 갈조류를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1명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