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2

신분제도가 생긴 이유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태초에 인간은 평등하게 태어났는데 옛 시대를 보면

신분제도가 전세계적으로 있었던 것 같습니다.

왜 이런 신분제도가 생긴걸까요?

그리고 다스리는 자보다 다스림을 당하는자가 많은데 왜 그냥 있었던건지

신분제도의 기원이 어디서 생겨났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무거운도라지볶음
    무거운도라지볶음23.03.11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류 역사 초기에는 인간들이 서로 모여서 작은 집단을 이루며 함께 생활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각자의 역할과 지위가 분명하지 않았으며, 평등한 상태에서 살았습니다.

    그러나 인간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생산수단과 부동산 등 자원을 소유하고 이를 관리하는 층이 생겨났습니다. 이러한 층은 자신들의 지위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을 통제하고 통치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신분제도가 생겨났습니다.

    신분제도의 기원은 다양한데, 사회적 계층의 형성은 주로 생산 수단과 자원에 대한 접근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즉, 부유한 층은 생산 수단과 자원을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권력과 지위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이것이 결국 신분제도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석기 시대만 해도 부족장은 있을지언정 평등한 사회였습니다. 지혜롭고 경험과 연륜이 많은 이가 부족장이 되었지만 군림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다 청동기 시대가 되면서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이 생겼습니다.

    청동제 무기는 석기 시대에 대단한 파괴력을 갖는 것으로 오늘날 핵무기 정도의 의미로 보입니다. 청동제 무기를 가지고 주변 부족을 정복하는 정복활동이 활발해졌습니다. 한 부족장에서 군림하는 군장이 출현한 것이죠. 그 부족이 지배하는 영토와 인구가 커질수록 군장의 권력은 커졌습니다.

    이로써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이 생긴 것입니다. 인류가 국가라는 조직을 만든 것은 효율적인 통치에 대한 필요성 때문이었습니다. 전쟁과 정복은 패자를 피지배계급, 생산계급으로 편성하게 하는 주요 수단이었습니다. 그들은 노예가 되어 가축과 같은 취급을 받았습니다.

    군장과 지배계급 밑에 하급관리들이 있으며 연합부족들은 그 대우를 받았습니다. 생산에 참여하는 평민이 있고 그 밑에 노예가 있었습니다. 노예들은 범죄를 저지르거나하여 생긴 형벌노예, 빚을 못갚아 생긴 경제적 노예, 전쟁으로 생긴 전쟁노예 등이 있었으며 생산에 투입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분제도는 개인의 사회적 신분의 광범위 하고 세습적으로 고정된 계급제도 입니다.

    신분의 발생적으로 재산의 차이가 계급을 발생케 하였다는 사유재산권, 힘이 있는 대씨족이 약소씨를 정복한 결과로 생겼다는 정보기술, 자본.자연.노동의 분배에 의한 선물이라는 경제원동력설, 분업의 선물이라는 분업할, 권력분배의 선물이라는 권력을 등으로 대별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정보기술은 원시 또는 고대사회에서 신분당선을 주요 요인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재산법과 경제원동력설은 중세 후에, 분업화의 현대사회의 주요한 신분결정의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