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기계공학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엔비디아 전용 이라는NVlink 가 CXL을 배제하고 있는 듯한 느낌은 어떤 근거에 기반하나?

NVLink 라 하면

엔비디아 에서 GPU간에 초고속 데이터전송을 위해 특화된

엔비디아 독자적인 인터커넥트로

GPU 클러스터간에 최대의 대역폭과 효율적인 병렬처리를 보이는데요

최근의 NVLink 경우는 GPU CPU간에 최대 900GB/s 의 대역폭을 보여줍니다.

엄청나지요.

하지만 인털이나 여타 업체, 삼성까지 참여한 CXL 라는 인터커넥트 기술도

향후 상당한 시장이 열릴것이라하는데

왜 엔비디아 에서의 NVlink 가 CXL을 배제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나요?

어떤 근거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엔비디아의 NVLink는 GPU간 초고속 데이터 전송에 특화된 독자 인터커넥트로, 최대 9000GB/s의 대역폭을 자랑하며 고성능 병렬처리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반면, CXL은 인텔, 삼성 등 여러 기업이 참여해 CPU와 가속기 간의 메모리 일관성 유지와 호환성에 초점을 맞춘 범용 인터커넷트 기술입니다.

    따라서 엔비디아는 자사 GPU클러스터에 최적화된 NVLink를 유지하면서 CXL이 제공하는 광범위한 호환성 대신 자체 기술로 더 높은 전송 효율과 밀접한 하드웨어 최적화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NVLink와 CXL은 목표와 설계 방향이 달라 경쟁이라기보다는 용도와 생태계 측면에서 차별화되고 있습니다.

    이런 특성과 엔비디아의 독자 생태계 전략 때문에 NVLink가 CXL과 별도로 운영되며, 상대적으로 CXL을 배제하는 인상을 줄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엔비디아는 자사 아키텍처 내에서 여전시 NV LINK 사용을 중심에 두고 있습니다. 이 부분이 크고 또한 대역폭면에서도 CXL 대비 NVLink가 우수하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엔비디아는 NVLink와 CXL을 모두 지원하기 보다는 멀티 GPU와 고성능 데이터 수신은 NVLink에 집중하고 있으며

    CXL와의 연동이나 채택을 늦추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는 업계에서 당장 채택할 필요성이 느끼지 않아서 이며 NVLink가 CXL을 뛰어넘는다는 점을 근거로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