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목마른들소81
목마른들소8122.06.09

신용카드 많이 만들면, 신용점수영향?

신용카드 많이 만들면, 신용점수가 깍인다는 이야기가 있던데,신용점수에 영향이 있나요? 혹은 만들어서 사용하다가 다른 혜택 좋은 카드로 자주 갈아타는 것도 신용점수에 영향이 가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신용카드가 많다는 이유만으로 신용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신용점수 상승/하락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신용점수 상승 요인

    - 대출금상환이력

    - 신용카드(체크카드 포함) 사용이력

    - 연체 대출금에 대한 상환

    - 통신/공공요금 성실납부 실적 등

    2. 신용점수 하락 요인

    - 대출금 연체

    - 신규대출 및 대출건수 증가

    - 제2금융권 대출

    - 현금서비스 이용 등

    또한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niceinfo.co.kr/creditrating/cb_score_1_4_1.nice

    또한 기사를 통해 나온 싱용점수 관리 내용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① 주거래 금융회사를 정해 한 곳에서만 거래하기

    “채무를 통합해 한 곳에서 관리하기 쉽다는 차원도 있지만, 급여통장·공과금 납부 등 여러 거래실적이 한 은행에 쌓이면 기존 2금융권 이용자라도 1금융권에서 대출이 가능한 경우가 생길 수 있다. 2금융권 대출을 이용하던 사람이 거래 실적을 잘 관리해 1금융권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면, 당연히 신용점수는 상승한다.”

    ② 소액 연체 만들지 않고 오래된 연체부터 정리하자

    “연체 기간이 오래된 것일수록 점수가 많이 깎인다. 반드시 오래된 연체부터 상환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소액이라도 연체를 절대 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주기적인 결제 대금은 자동이체를 걸어두는 것이 낫고, 상환 알림을 제때 받을 수 있도록 연락처 등이 변경되면 반드시 금융회사에 통보해야 한다.”

    ③ 통신비·국민연금·건강보험료 등 성실납부 이력 등록하기

    “통신비·국민연금·건강보험료 등의 비금융정보도 신용점수에 반영할 수 있다. KCB·나이스신용평가 등 신용평가사나 서금원 애플리케이션(앱), 일부 핀테크 앱을 통해 공공요금을 장기간 성실 납부해왔다는 사실을 조회하고 나서 이를 직접 등록하면 가산점이 부여된다. 예로 KCB의 경우, 국민연금을 성실 납부한 기간이 36개월 이상이면 최대 41점까지 점수가 오를 수 있다.”

    ④ 신용카드 한도는 30~50%만 쓰도록 하자

    “신용카드의 개수 자체는 신용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더 중요한 것은 한도 안에서 어느 정도를 쓰느냐다. 한 달에 1000만원을 신용카드로 쓰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보면, 1000만원 한도인 카드 하나를 가지고 꽉 채워 쓰는 것보다 카드 여러 개로 나누어 쓰는 게 낫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6.11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신용카드를 많이 쓰면 신용등급이 오른다는 말은 결론적으로 이야기하자면 맞습니다. 다만 신용카드는 기본적으로 신용을 바탕으로 한 ‘여신(빌려쓰는 것)’ 금융이기 때문에 ‘잘 쓰고 제때 잘 값는’ 선순환 구조가 핵심입니다.

    카드업계 관계자들은 신용카드 일시불·할부·카드론 등을 자주 이용하고 연체 없이 대금을 상환하는 양호한 결제실적이 쌓이게 되면 신용도가 상위등급으로 상향 조정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물론 자신의 상환능력 지표가 되는 소득 및 이용한도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입니다.

    빚 지는 게 싫고 과소비가 우려된다며 신용카드를 아예 쓰지 않는 사례도 주변에서 종종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자신의 신용등급 측면에서는 그리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현금 거래 위주로 하다보면 금융거래 이력이 잘 남지 않아 신용도 형성에 불리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신용점수 산정는 신용거래횟수 및 신용거래 종류 그리고 신용거래에 대한 연체등을 각각 비율로 지정해서 점수를 매기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비중이 가장 큰부분이 연체관련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기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소유를 많이 한다고 해서 신용점수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단, 많은 신용카드로 카드론을 사용하시거나 신용대금이 연체될 경우에는 점수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