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반가운참매257
반가운참매257

애가 7살인데 저녁만 되면 집에 간다고 합니다.

애가 7살인데 저녁먹고 7-8시만 되면 집에 가자고 합니다.

처가집을 자고 가려고 갔다가 애가 난리치는 통에 밤 11시에 집에 돌아올 정도구요.

그러다보니 어디를 놀러 가기가 어렵네요

좋은방법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푸른사슴벌레78
    푸른사슴벌레78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왜 집에 가고 싶어하는지

    이유를 물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좋아하는 장난감이 있을 수도 잇고

    다른 이유가 있을수 도있을 것 같습니다

    이유를 해결해주시는 ㄱ서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충분히 의사표현을 자유롭게 할수 있는 나이이기에 아이에게 물어봐주세요 왜 집에 가고싶은지... 주변의 상황을 전혀 모르는 상황에서 질문 글만으로는 아이가 왜 집에 가고 싶어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 그 상황에서 아이에게 물어봐주세요 왜 집에 가려고 하는지요 ^^;; 생각보다 답은 가까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무조건 집에 갈 수 없음을 알려주세요,

    거리가 먼 곳도 있을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오늘은

    집을 못가지만 여기에서 엄마아빠랑 재밌게 놀고

    코 자자 이런식으로 달래보시고 아이가 좋아하는 장난감이나

    이불 등을 챙겨가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낯설은 곳에서는 잠을 못자는 아이들이 간혹 있습니다.

    그럴 때는 아이 애착 물건을 함께 가져가세요.

    평소 아끼던 장난감이나, 애착 이불을 챙겨가면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자신의 환경이나 습관에 매우 익숙합니다. 자신의 방에서 자기 전에 늘 정해진 어떤 행동을 하기도 합니다. 그로 인해 자신의 습관에 변화가 생기고 자신의 방이 아닌 낯선 곳에서 자는 것에 저항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집을 떠나 다른 곳에서 잘 준비가 되었을 때 그들은 친구들과 친밀하게 지내는 새로운 방식을 발견하게 됩니다. 함께 게임이나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험은 아이들의 자존감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집에서 안정감을 느끼는 것으로 생각되네요

    이러한 때에는

    오히려 더 여행이나

    다른 곳을 많이 다녀보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리 아이는 잠자리가 바뀌면 잠이 쉽게 들지 못하는 성향인 것 같습니다.

    집이 아닌 곳에서 적응을 하게 하려면 평소에 아이가 좋아하는 장난감 등을 가져가서 놀게 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것입니다.

    애착이불이나, 애착 인형 등도 가져 가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