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금,예금 계산 방법이 너무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직 적금과 예금의 이자 계산 방법이 제대로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경제 채널에서는 같은 이자율일 경우
적금보다 예금에 넣어두는게 더 괜찮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하는데 도대체 어떤 원리 인가요?
기본 입출금 통장 1% 예금 1.5% 적금 2% 일때는 어디에 넣어두는게 가장 이득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이율을 떠나서 적금은 목돈을 만들기위한 수단으로 그리고 목돈이 만들어지면 이것을 예금해서 이자를 받는것입니다. 1억을 1.5프로 예금을 했을떄는 세전 150만원의 이자가 붙고 월 833만원을 1년간 2% 1년간 적금을 넣을경우 세전 약 108만원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은 앞으로 들어올 예정인 금액에 대해서는 이자를 붙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적금의 경우 매달 들어오는 20만 원에 대해서만 이자가 계산되죠. 그리고 이자율은 1년을 단위로 계산되므로 월 이자는 “원금 X 연이율 X 1/12”이 됩니다. 따라서 첫 달에 넣은 20만 원은 1년 동안 통장에 예치되어 있으므로 이자율 3%의 적용을 모두 받게 되고, 마지막 12개월 차에 넣는 20만 원은 1/12만큼의 이자율만 얻게 되는 것입니다. 반면에 예금은 가입한 첫 달에 240만 원을 모두 예치하므로 1년 치 이자가 만기 시 모두 들어오게 됩니다. 이처럼 240만 원이라는 동일한 예산으로 1년 동안 각각의 금융상품에 예치했을 때, 연 3% 정기적금보다 연 2% 정기예금의 세전 이자가 9,000원 더 붙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