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정책

Youangel
Youangel

해리스의 대북정책은 어떤것인지요?

안녕하세요? 지금 미국에서 대선 토론회가 열리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해리스 대통령 후보의 대북정책은 어떤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카말라 해리스 부통령은 대북정책에 있어 외교적 접근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북한의 비핵화를 목표로 하면서도,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해리스는 북한의 인권 문제와 핵무기 개발에 대한 강력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며,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통해 북한에 대한 압박을 지속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카말라 해리스는 대선 후보로서 선거에서 이긴다면 현재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정책을 대부분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녀의 접근 방식은 북한의 비핵화를 목표로 한국과 일본과의 강력한 동맹을 유지하는 데 초점을 맞춰 진행할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대북정책에 있어서도 해리스는 한국, 일본과의 양자 또는 3국(한·미·일) 공조를 통해 북한 문제에 대응하려 한다. 반면 트럼프는 정상 간 만남을 갖고 문제를 해결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을 재임 당시 활용해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리스의 대북정책은 현재 현상 유지입니다.

    김정은과 친근하게 대하지 않고 일본, 한국과의

    공조 강화로 대응하겠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해리스의 대북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해리스 후보의 대북정책 노선은 민주당의 대북정책 노선과

    크게 다르지 않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카멀라 해리스 대통령 후보의 대북정책은 원칙론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한미일 공조를 통해 북한 문제에 대응하고,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의 인권 침해와 불법 무기 프로그램에 대해 강력히 비판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대선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북한에 긴장감을 유지하는 정책을 추진할 의사를 내비쳤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북한과 친밀한 외교를 보이려고 하는 반면, 해리스 부통령은 북한에게 우호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북한과의 친밀한 외교를 통해 핵을 억제하고,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을 비추고 있습니다.

    해리스 부통령은 한미일 3자 협력 강화 또한 추진할 것이라고 입장을 내비쳤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리스의 대북정책은 사실상 트럼프에 비하여는 크게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해리스는 현재 동맹과 협조하여 압박을 가하는 형태로 북한을 억제하고자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부탁드립니다.

    https://www.voakorea.com/a/7753714.html

    감사합니다

  •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대북 정책은 기본적으로 "억제력"을 중심으로 하고 있습니다.

    해리스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미사일 발사 등 도발 행위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며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동맹국인 한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해리스 부통령은 민주당의 대선 캠페인에서 북한의 도발에 맞서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의 안보를 지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차별점으로 북한 독재자와의 유착이나 타협을 하지 않겠다고 명확히 하고 있으며 대북 정책에서 동맹과의 협력을 중요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리스는 대북 제재를 유지하며, 북한의 핵 프로그램에 대한 압박을 강화할 것이라고 예고하고 있습니다.

    해리스는 대화와 협상을 통해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이끌기보다는 강력한 억제력을 바탕으로 북한의 행동을 제어하려는 접근을 취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리스 대통령 후보의 대북정책은 현재 바이든 행정부의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해리스는 북한의 비핵화를 주요 목표로 삼고 있고 미국과 동맹국 간의 협력을 강조하면서 북한과의 대화의 문을 열어두는 정책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해리스 행정부가 실질적인 성과를 내기 어려울 수 있는데, 북한이 중국과 러시아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등 새로운 도전에 직면할 가능성도 큽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리스 후보자는 대북 억지력 유지를 위해 한미동맹과 한미일 공조를 강화하겠다는 기존 바이든 정부의 입장과 비슷한 골자의 정책을 공약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2022년 9월 방한해 비무장지대, DMZ를 둘러본 해리스 후보는 북한 문제에 대한 원칙론을 피력했습니다.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 (2022년 9월)> "(북한에는) 잔인한 독재와 만연한 인권 침해,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불법 무기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미국과 전 세계는 북한이 더 이상 위협이 되지 않는 안정적이고 평화로운 한반도를 추구합니다."

    실제로 해리스는 부통령으로서 150명이 넘는 외국 정상들을 만나 북한과 중국, 러시아, 이란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미국의 군사·경제적 지원을 약속한 바 있습니다.

    민주당 후보로 대선에 나서서 승리할 경우, 자연스럽게 조 바이든 대통령의 외교·안보 정책 기조를 승계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리스 부통령은 대선 토론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독재자 김정은과 러브레터를 주고받았다고 비팡하면서 강경한 입장을 펼치고 있습니다.

    지난달 시카고에서 열린 민주당 전당대회 대선 후보 수락 연설에서 트럼프를 지지하는 김정은과 같은 독재자들에게는 친하게 굴지 않을 것이라면서 대북 제재를 이어갈 것을 시사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북한의 위협에 맞서 한국에 대한 우리의 흔들리지 않는 공약을 확인하기 위해 비무장지대를 방문했다고 밝히면서 우리와의 동맹을 재확인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