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기술로 통관 검역 절차를 대체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AI 기술이 기존의 인력이 수행하고 있는 수출입 검역의 전 과정을 미래에는 완전히 대체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수출입 검역 업무의 일부는 자동화될 수 있지만, 현장 판단이나 예외 처리, 돌발상황 대응 같은 부분까지 완전히 대체하긴 쉽지 않아 보입니다. 특히 식물이나 동물성 제품처럼 세밀한 검토가 필요한 품목은 사람의 눈과 경험이 여전히 중요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기술은 도구일 뿐, 최종 판단은 결국 사람이 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AI 기술이 통관 및 검역절차에 자동화와 효율화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현재 통관이나 검역인력을 완벽히 대체할 수 있는 기술력이 아직까지 도입되었다고 보기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상황 이에 따른 대처는 여전히 경험많은 전문가의 판단이 필요하므로 AI가 도입되어도 협정 중심의 도입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ai가 통관이나 검역 절차를 꽤 많이 도와줄 수는 있겠지만 전 과정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쉽지 않을 거 같습니다. 예를 들어 서류 심사나 위험 분석 같은 건 ai가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겠지만, 현장에서 물리적으로 샘플 채취하거나 병충해 검사하는 건 여전히 사람이 직접 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상황에 따라 예외적인 물품이나 예상 못 한 상황도 있어서 그런 건 ai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미래에도 ai는 통관 검역을 보조하는 쪽으로 쓰이고 사람과 같이 가는 방식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기술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미래에는 상당 부분을 대체할 가능성이 있을 것 으로 생각됩니다. 수출입 검역의 서류 심사 ,물리적 검사, 위험도 평가,검역 장비 운용, 판정 및 조치 등 여러 단계 중 서류 확인, 위험물 분류, 이력 추적, 이상 징후 탐지 등은 AI 적용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검역에 대하여는 물품에 대하여 정보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처리 및 검사 등을 하는 행위를 뜻합니다. 이러한 검역절차는 대부분 특정처리나 검사후 기준치에 부합하면 되기에 AI도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이러한 검역절차에 대하여 물품별로 AI가 학습이 필요한점 그리고 AI의 판단이 틀릴 수도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가능하다면 인력을 어느정도는 투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