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팔팔한염소294
팔팔한염소294
23.08.22

민법상 퇴직의 효력발생시기와 근로계약서상 퇴직의 효력발생시기 중 어느쪽이 우선시되나요?

[입사일 : 23년 4월 3일]

[퇴사희망일 : 23년 10월 15일]

[급여일 : 매월 10일 (1일~말일 근무한 급여를 익월 10일에 지급)]

**근로계약서에 30일 전 사직서 제출해야한다고 명시되어있음

**취업규칙에는 따로 명시된 것 없음

기간의 정함이 없는 정규직 근로자입니다

(10월 15일을 사직일로 기재한)사직서를 9월 14일에 제출하고자 합니다

근로계약서에 30일 전 사직서 제출의무가 적혀있어 9월 14일에 제출하려고 한건데,

1) 혹시 회사에서 사직서 수리를 거부하면서 민법상 퇴직의 효력발생시기가 11월 1일이라며 그때까지 계속 근로를 요구+고용보험의 유지(?)를 할 수 있나요?

(10월 말 이직시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겹치게 될까봐 걱정입니다)

2) 민법상 퇴직의 효력발생시기와 근로계약서상 퇴직의 효력발생시기 중 어느쪽이 우선시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