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24

빛의 반사와 굴절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빛이 거울에 비치면 빛은 반사가 되고 물방울에 빛을 비치면 굴절이 된다고 하잖아요. 정확히 빛의 반사와 굴절은 무슨 차이를 가지고 있는 건가요? 거울을 통해 빛을 볼때도 각도에 따라 다르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젊은매미372
    젊은매미37223.07.25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반사는 광원에서 나와 직진하는 빛이 불투명한 물체의 표면에서 튕겨나가는 현상입니다. 이 성질로 반사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와서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는 것이에요. 반사에는 법칙이 있는데 반사의 법칙은 입사각의 크기와 반사각의 크기는 항상 같다 입니다.

    굴절은 빛이 나아가다가 진행하는 물질의 성질이 달라지면 (물질의 성질은 고체, 액체, 기체를 가리킵니다.) 이동 속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성질이 다른 물질을 만나는 면에서 이동 속도가 달라 꺾이게 되는데 이 꺽이는 현상을 굴절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반사는 빛이 들어온 방향에 튕겨져 나가는 현상입니다.

    빛이 들어오는 각도에 따라 반대방향으로 나가게 됩니다.

    하지만 빛의 굴절은 서로 다른 매질을 통과할 때 발생하면 매질의 성질에 따라 빛이 통과하는 각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반사와 굴절은 빛이 물체와 상호작용할 때 나타나는 두 가지 다른 현상입니다.

    1. 반사 (Reflection): 반사는 빛이 표면과 충돌하고, 표면으로부터 빛이 되돌아오는 현상입니다. 이때 빛은 표면에 수직으로 들어온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되돌아갑니다. 즉,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습니다. 거울이나 유리 표면과 같이 매끄러운 표면에서 주로 발생하며, 빛의 에너지는 방향만 반대로 변경됩니다. 거울의 경우 빛이 거울 표면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이미지가 형성됩니다. 반사는 빛의 속도 변화가 없기 때문에 빛의 파장은 변하지 않습니다.

    2. 굴절 (Refraction): 굴절은 빛이 두 개의 다른 물질(예: 공기와 유리, 공기와 물) 사이의 경계를 통과할 때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두 물질의 밀도가 다르기 때문에 빛의 속도가 변하게 됩니다. 이때 빛은 경계면을 기준으로 휘어지며, 입사각과 굴절각이 서로 다릅니다. 굴절은 빛의 파장이 변하게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빛의 색상이 바뀌는 현상인 분산(disperson)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거울을 통해 빛을 볼 때도 각도에 따라서 이미지가 다르게 보입니다. 거울의 경우 빛의 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이미지가 표면과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거울과 물방울과 같은 굴절을 일으키지 않는 표면과는 달리 이미지가 형성됩니다. 반면 물방울과 같은 굴절을 일으키는 표면은 이미지가 왜곡되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반사는 물체가 빛을 받아 표면에서 튕겨져 나오는 현상이며, 빛의 굴절은 빛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방향이 바뀌는 현상이며, 두 매질의 경계면을 통과할 때 각도가 변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반사는 물체의 표면에서 빛이 튕겨져 나와 반사하는 것입니다.

    굴절은 빛이 투명한 물체나 반투명한 물체를 투과할 때 휘어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거울을 통해 볼 때에는 빛의 반사가 일어납니다. 거울의 표면에서 빛이 반사되어 사물을 볼 수 있는 것이죠.

    물을 통과하는 빛은 빛의 굴절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젓가락을 물이 담긴 투명한 컵에 담그면 젓가락이 휘어보이죠. 이는 젓가락에서 반사된 빛이 굴절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휘어보이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울은 대부분의 빛을 반사하고 전자기파형태로 날아온 빛이 거울을구성하는 촘촘한 원자들 사이를 통과허지못해 튕겨져나오는것입니다.

    반면 물의 표면에서는 사이사이 빈공간으로 빛이 지나가는데, 각 물질마다 이러한 투과정도나 매질사이 공간의 정도가 다르기에 통과하는 매질이바뀌는 경계면에서 굴절이 일어납니다.

    일부빛은 물분자에 부딪혀 반사되어나오기도하며 물 표면이 반짝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반사는 빛이 물체를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되어 나오는것을 뜻합니다.

    굴절은 빛이 물체를 투과하면서 물체나 구조에 의해 굴절되어 들어간 방향과 나오는 방향이 다른것을 뜻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반사와 굴절은 빛이 매질의 경계면에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반사는 빛이 매질의 경계면에서 다시 원래의 매질로 되돌아가는 현상이고, 굴절은 빛이 매질의 경계면에서 다른 매질로 통과하면서 진행 방향이 바뀌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수용 과학전문가입니다. 동일한 매체에서 빛 또는 음파가 비행기로 떨어지면 되돌아 오는 것을 반사라고 합니다. 밀도가 다른 매체에 들어갈때 전파 방향으로의 이동은 굴절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반사와 굴절은 빛이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반사는 빛이 표면과 만나면 표면에서 튕겨져 나오는 현상입니다. 표면에 도달한 빛은 표면의 입사각과 같은 각도로 반사되어 나오게 됩니다. 이는 거울에 비친 모습을 볼 때나, 물체의 표면에서 빛이 반사되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굴절은 빛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는 현상입니다. 매질이 바뀌면서 빛의 속도가 변화하게 되면, 빛은 진행 방향을 휘어지게 됩니다. 이는 물체가 물속으로 들어갈 때나, 유리의 표면을 통과할 때 빛이 굴절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반사와 굴절은 모두 빛이 매질의 경계면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그러나 반사와 굴절은 빛이 진행하는 방향이 다릅니다. 반사는 빛이 매질의 경계면을 만나면 원래의 진행 방향으로 되돌아오는 현상입니다. 반면 굴절은 빛이 매질의 경계면을 만나면 매질의 경계면에 수직한 평면을 기준으로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는 현상입니다


  • 빛의 반사와 굴절은 빛이 다른 매질(재질)로 옮겨갈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둘 다 빛의 행동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빛의 반사와 굴절은 서로 다른 현상입니다.

    1. 빛의 반사 (Reflection): 빛이 거울 또는 표면과 같은 매끄러운 인터페이스를 만날 때, 빛은 동일한 각도로 반사됩니다. 즉, 빛의 진행 방향과 반사되는 방향이 같은 각도를 이룹니다. 이러한 현상을 '법칙적 반사'라고도 합니다. 거울과 같은 매끄러운 표면에서 반사된 빛은 거울에 비춰진 모습과 동일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우리가 거울을 통해 물체를 볼 수 있습니다.

    빛의 반사는 표면의 속성과 빛의 입사 각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입사각이 수직에 가까울수록 반사되는 빛은 거울과 거의 평행하게 퍼져 나갈 것이며, 입사각이 수평에 가까울수록 거울에 수직으로 반사될 것입니다.

    1. 빛의 굴절 (Refraction): 빛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빛은 굴절(refraction)됩니다. 이때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고 속도가 변하는데, 이로 인해 빛의 굴절 각도가 바뀝니다. 굴절률이 다른 두 매질 경계면을 통과할 때, 빛의 굴절이 발생합니다. 물방울과 같은 매질을 만날 때 빛은 매질 안으로 들어가거나 매질에서 나와서 굴절됩니다.

    빛의 굴절은 스눕의 법칙에 따라 발생합니다. 스눕의 법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빛이 두 매질 사이의 경계면을 통과할 때, 두 매질의 굴절률과 입사각, 굴절각 간의 관계는 일정한 상수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빛이 거울과 같은 매끄러운 표면을 만날 때는 반사되고, 물방울과 같은 매질을 만날 때는 굴절됩니다. 거울을 통해 빛을 볼 때, 거울의 형태와 빛의 입사 각도에 따라 반사된 빛이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굴절과는 관련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