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순박한오색조114
순박한오색조11422.11.11

미국 CPI 수치가 도데체 뭐길래?

미국 CPI지수가 올라갔다고 하는데

소비자 물가지수라고 뉴스에서 말하는걸

들었는데요 이지수가 오르면 뭐가 좋아지길래

미국 증시가 급등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 지수는 물가 상승에 대한 지표입니다.

    이 지수가 높으면 물가 상승이 전년도 동월(같은 달) 대비 얼마만큼 올랐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많이 오르면 오를수록 안 좋은 지표이죠.

    현재 연준이 기준 금리를 상승시키는 이유는 물가상승을 완화하려고 하는 이유가 가장 큽니다.

    그런데 10월 소비자 물가 지수가 예상치가 7.9%였으나 실제로 집계를 해보니 7.7%가 나온 것입니다. 예상보다 낮게 나온 것이죠.

    이것은 "어? 물가가 생각보다 덜 올랐네?"라는 생각을 불러올 수 있고,

    이 생각은 -> "어 그럼 연준이 기준 금리를 올리는 폭과 속도 등을 줄여나가겠구나?"라는 심리로 이어졌습니다.

    그 결과, 주식시장에 반등을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아져 미국 시장이 폭등한 것입니다.

    그런데 7.7%라는 숫자는 시장 전망치인 7.9%라는 수치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 것이지, 절대적으로는 높은 숫자라는 점을 명심하시고

    이런 점을 생각하면 시장이 좀 오버액션한 느낌이 없지 않아 있다는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cpi란 소비자물가지수로 아무래도 현재 급격하게

    금리인상을 하는 것이 물가상승률이 상당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물가가 완화된다는 것에 따라서 금리인상속도를

    조절하겠다는 기대감에 따라서 미국증시가 급등한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어제 밤 미국의 CPI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폭이 7.7%의 결과값을 발표되었는데요. 이 CPI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인플레이션의 수치화라고 보시면 되세요.

    그런데 이 CPI수치가 예측은 8%를 예측했으나 실제는 예측치보다 훨씬 낮은 7.7%가 나오게 되면서 인플레이션이 점차적으로 떨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가 되는 것입니다.

    특히나 지는 11월 3일 미 연준의 파월의장이 금리인상기조에 대해서 완화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완화를 고려해야 할 충분한 근거 데이터가 없다고 하여 미국의 금리인상이 12월에도 빠르게 진행될것이라 예측하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방금 전 말씀드린 CPI가 낮게 나오면서 미국의 금리인상기조를 완화해야 할 근거가 만들어지게 된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CPI지수가 발표되고 난 직후에 금리인상 기조의 완화 기대감으로 증시와 코인시장이 크게 상승을 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인플레이션이 하락하는 것은 곧 물가의 안정을 의미하고 금리인상속도의 완화는 경기침체의 불안감을 해소시켜주는 호재라고 생각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 경제에서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 두 가지 방식인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와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 입니다. 그중 CPI는 소비자들이 특정 기간동안 구매한 재화와 용역의 총 가치를 측정한 값입니다.

    해당 지표가 중요한 이유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의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현재 미연준은 물가를 잡기 위하여 급격하게 금리를 인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자비용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채권, 주식, 부동산, 코인 및 실물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따라서, CPI가 예상치보다 낮게 나온다면 물가가 잡혀가고 있다는 신호이기 때문에 금리인상 속도를 낮추거나 이를 멈출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CPI가 예상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물가가 여전히 잡히지 않는 다는 뜻이기 때문에 금리인상속도를 유지하거나 더 강하게 금리인상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CPI -> 금리 결정 -> 시장영향의 연결고리에 따라 CPI가 예상치보다 낮았기에 미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론이 강세를 보이면서 주식시장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11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CPI지수란 Consumer Price Index 의 약자로 말그대로 '소비자물가지수'를 의미합니다. 전국 일반 소비자 가구에서 소비 목적으로 구입한 상품과 서비스의 물가수준 동향을 알려줍니다. CPI지수가 중요한 이유는 경기판단지표로 활용이 가능합니다.그리고 경제상태를 진단하는데 거시경제지표의 하나로 활용 되며 진단된 경제 상태에 따라 각종 정책들이 수립되므로 중요한 지표로 활용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