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사일러스
사일러스

조선 왕들의 이름은 전부 외자인자가요?

조선의 태조 이성계도 왕위에 오를때 '이단'으로 개명했다고 하고, 조선의 역대 왕들은 전부 외자인데, 특별한 이유가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왕의 이름이 외자인 이유는

    왕의 이름을 휘라고 하여 극 존중했으면 그것이 왕의 이름이다 보니 해당 한자를 다른 곳에는 못쓰게 했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되도록이면 외자를 사용했고, 그 외자 이름을 지을 때에도 신중에 신중을 기하여 아주 어려운 한자를 쓰도록 했다고 합니다.그렇게 하지 않으면 왕의 이름이란 이유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글자로 일상에서 편지를 쓰거나 문서를 작성할 때 큰 불편을 겪게 되기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출처: 타라 월드-이야기 풍경 이산, 이도.. 조선 왕의 이름이 '외자'인 이유? (tistory.com)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답변을 아하에서 하였지만 다르게답변 드리면

    백성의 이름에 왕의 함자가 들어가는 것을 금기시했기 때문이다. 이를 기휘라고 한다. 기는 ‘꺼리다’, 휘는 ‘피하다’는 뜻이다. 문집이나 비석 등 금석문 등은 말할 것도 없고, 왕실에서 펴낸 의궤나 각종 책자를 발간할 때도 왕의 이름이 나오면 그 부위에 붉은 비단을 붙여 볼 수 없도록 했다. 그래서 백성의 불편을 덜기 위해 왕의 이름을 외자로 지은 것이다.



    이런 기휘